본문 바로가기
글자 굵게글자 크게글자 작게인쇄

보도자료

경북 귀농 전국 1위. 귀농귀촌은 2년 연속 감소
부서명
농축산유통국 농업대전환과
전화번호
054-880-3321
 
 
작성자
정기수
작성일
2024-06-30 21:29:29
조회수
5
- 지난해 1,911가구, 2,451명 귀농. 전국의 18.5% 차지 -
- 귀농 전국 순위 TOP 5에 경북도 3개 시군(의성, 상주, 영천) 속해 -
경상북도는 25일 농식품부와 통계청이 공동으로 발표한 ‘2023년 귀농·귀촌 통계조사’에서 경북으로 귀농한 가구가 1,911 가구(2,451명)로 전국 귀농가구 1만 307가구 중 18.5%로 전국 1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귀농·귀촌은 국내 인구이동 감소 등으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전국) (2022년)12,411가구 → (2023년) 10,307 ⇒ 2,104가구(△17.0%)
- (경북) (2022년) 2,412가구 → (2023년) 1,911 ⇒ 501가구(△20.7%)

전국 시도별 귀농 가구는 경북이 1,911 가구로 가장 많고 전남 1,781 가구, 충남 1,299 가구, 경남 1,193 가구 순으로 나타났으며, 군위군은 행정구역 변경에 따라 대구에 포함되어 작성됐다.

도내 시군별로는(귀농 가구) 의성군 196 가구(전국 1위), 상주시 163 가구(전국 2위), 영천시 157 가구(전국 3위), 김천시, 예천군 순이며, 의성군, 상주시, 영천시는 귀농 가구 수 기준 전국 1~3위를 차지했다.
* 귀농가구수(도별) : 전국(10,307가구), 경북 1,911 > 전남 1,781 > 충남 1,299 > 경남 > 1,193
* 귀농가구수(시군별) : 의성군(196) > 상주시(163) > 영천시(157) > 김천시(127)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귀농·귀촌 감소 요인으로 국내 인구 감소와 도시지역 실업자 수가 줄어들어 귀농·귀촌 인구가 줄어든 것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농막처럼 주소이전 없이 농촌을 체험할 수 있는 길이 많아진 점도 귀농·귀촌 인구가 줄어든 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 2023년 국내 인구이동자 수는 612.9만명으로 1974년(529.8만명) 이후 49년 만의 최저치
** 실업자 수(2023년-2022년 대비) : (도시) △44천명(△6.0%) / (농촌) △2천명(△2.0%)

한편, 경상북도는 귀농·귀촌 지원시스템 정비 및 재구축, 도시민 유치 홍보활동 강화, 귀농인 정착 지원사업 확대, 귀농·귀촌인들의 지역민과 소통을 통한 화합 분위기 조성 등 귀농·귀촌 분야의 질 높은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더욱더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김주령 경상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이번 귀농귀촌 통계조사 결과를 면밀히 분석하여 필요한 정책을 보완해 나갈 예정”이라며 “앞으로 다양한 귀농 및 청년창농 지원정책, 수요자 중심 교육 등을 체계적으로 준비하여 귀농·귀촌인 유치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3유형 : 출처표시필요,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경상북도청
담당자
연락처 :
054-880-4325
최종수정일
2022-02-09
페이지 만족도 및 의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