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자 굵게글자 크게글자 작게인쇄

보도자료

- 경북의 유교․신라․가야 3대 문화 세계적으로 인정 -
- 경북도, 국내 최다 세계유산 보유한 문화 종주도로 확실한 자리매김 -
1.가야고분군_세계유산인증서_전달식.jpg

1.가야고분군_세계유산인증서_전달식.jpg

1.가야고분군_세계유산인증서_전달식.jpg

1.가야고분군_세계유산인증서_전달식.jpg

경북도는 11월 27일 문화재청이 개최한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 인증서 전달식에서 고령 지산동 고분군을 포함한 7개의 가야고분군이 소재한 지자체장들과 함께 인증서를 전달받았다.

가야고분군은 지난 9월 제45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주변의 중앙집권적 고대국가와 병존하면서도 연맹이라는 독특한 정치체계를 유지했던 가야문명을 실증하는 독보적인 증거로, 동아시아 고대 문명의 한 유형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으로 인정받아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이날 문화재청을 통해 세계유산 등재 인증서를 전달받은 것이다.


7개의 가야고분군 (경북 1, 경남 5, 전북 1) • 경북(고령지산동 고분군) • 경남 (김해 대성동, 함안 말이산, 합천 옥전, 고성 송학동, 창녕 교동․송현동 고분군)
• 전북 (남원 유곡리․두락리 고분군)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로 경북은 유교․신라․가야의 3대 문화가 세계적으로 인정받음과 동시에 국내 최다의 세계유산(세계유산 16건 중 6건)을 보유한 문화 종주도 경북의 위상이 더욱 확고해졌다.



❶석굴암과 불국사(1995년) ❷경주역사유적지구(2000년) ❸한국의 역사마을(하회와양동)(2010년) ❹산사․한국의 산지승원(부석사,봉정사)(2018년) ❺한국의서원(소수·옥산·도산·병산)(2019년) ❻가야고분군(지산동 고분군)(2023년)


이러한 명성에 걸맞게 경상북도에서는 금년 3월에 ‘경상북도 유네스코 세계유산 미래전략 2030’계획을 수립하였고, 7대 핵심과제를 중심으로 경북의 탁월한 세계유산을 앞세워 미래 경북의 문화관광 생태계를 혁신해 나가겠다는 야심찬 포부를 밝힌 바 있다.

아울러, 세계유산(태실, 누정), 기록유산(만인소, 편액, 내방가사), 무형유산(한지·전통 활문화) 등의 신규 유산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경북을 명실공히 세계유산의 중심지로 우뚝 세운다는 방침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가야고분군’의 세계유산 등재는 경북의 신라·유교·가야 3대문화를 전 세계가 인정하는 대한민국의 쾌거”라며, “경북은 세계유산의 보고(寶庫)인 만큼 전통 문화자원을 전승·보존하고 미래 먹거리로 적극 활용·발전시켜 대한민국의 국격을 높이고, 지방시대를 견인하는 데 앞장서 나가겠다”고 말했다.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3유형 : 출처표시필요,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경상북도청
담당자
연락처 :
054-880-4325
최종수정일
2022-02-09
페이지 만족도 및 의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