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자 굵게글자 크게글자 작게인쇄

보도자료

전기차 배터리 통합관리체계 구축, 경북이 주도한다!
부서명
메타버스과학국 빅데이터과
전화번호
054-880-2542
 
 
작성자
권용환
작성일
2023-11-16 15:40:52
조회수
351
- 찾아가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로 전기차 이용자 편의 증대 -
- 배터리 이력관리를 통한 경북형 배터리 데이터 서비스 모델 구축 -
경북도는 ‘경북형 전기차 배터리 통합관리체계 구축사업’착수 보고회를 16일 개최하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섰다고 밝혔다.

‘경북형 전기차 배터리 통합관리체계 구축사업’은 포항시 관내 전기차를 대상으로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와 배터리 데이터 분석을 연계해 전기차 이용자들의 편의를 증진하고 배터리 성능인증 및 안전진단 정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기차 보급과 함께 전기차 충전 인프라가 구축되었으나, 충전시설이 대부분 고정형으로 운영되어 차량 충전이 긴급히 필요하거나 접근성이 좋지 못한 곳에 설치되었을 경우 충전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렵다.

이번 사업을 통해 ㈜티비유는 총 6대의 충전 차량에 이동형 급속 충전시설을 탑재하고 충전이 필요한 전기차에 충전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기차 충전 앱 일렉배리(elecvery)를 활용해 운전자들은 원하는 시간과 장소를 선택하여 전기차 배터리 충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또 ㈜피엠그로우와 ㈜티비유는 포항시와 협업을 통해 취약계층(노약자, 장애인, 임산부 등) 소유 전기차에 우선적으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고, 신청을 통해 모집한 다양한 직업군의 전기차 이용자(트럭기사, 택시 등) 70명의 차량에 운행기록 자기진단장치(OBD) 단말기를 부착해 차량 운행 정보,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 등의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전기차 충전과 연계한다.


운행기록 자기진단장치(OBD)를 통해 수집·분석된 배터리 데이터는 경북 빅데이터 통합플랫폼(GB모아)에 ‘배터리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차량 운행 이력 및 배터리 온도,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 등의 안전진단 정보를 차량 소유주가 확인할 수 있다.

운행기록 자기진단장치(OBD) 장착 차량은 사업기간 내 배터리 충전 서비스가 무료로 제공될 예정이며, 배터리 데이터를 분석하여 충전량이 일정 비율 이하로 낮아질 경우 전기차 충전 앱을 통해 자동으로 충전 예약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한편, 전기차 확산에 따라 사용후 배터리 시장 규모가 확대되는 가운데 ’22년 8월 개최된 ‘국토교통 규제개혁위원회’를 통해 자동차와 배터리 소유권의 분리 등록 방안을 추진하면서 전기차 배터리가 독자적으로 유통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경북도는 ‘경북형 전기차 배터리 통합관리체계 구축사업’을 통해 포항 배터리 규제자유특구 내 배터리 제조사 및 재활용 전문업체와 협업하여 배터리 전주기 이력관리 체계*를 선도적으로 구축하고, 향후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산업을 주도할 예정이다.

* 배터리 제작-등록-운행 및 탈거-재사용 등 전주기에 걸친 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 구축

최혁준 경북도 메타버스과학국장은 “앞으로도 찾아가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대상 지역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전기차 충전 인프라 부족으로 인한 전기차 이용자들의 불편을 해소하고, 데이터 기반 배터리 인증 서비스 등 배터리 데이터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여 도내 배터리 관련 기업이 전기차 배터리 통합관리체계 구축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마련하겠다”고 계획을 밝혔다.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3유형 : 출처표시필요,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경상북도청
담당자
연락처 :
054-880-4325
최종수정일
2022-02-09
페이지 만족도 및 의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