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자 굵게글자 크게글자 작게인쇄

자유게시판

제목
지하수. 생수 생산 규제 요청
  • 등록일2024-06-12 06:29:11
  • 작성자 안정은
내용


새제목 : 지하수 판매 규제 요청 
관련대호 ********** 9. 8, 토요일 16: 28) 
수신처 : 세종사무소(참조 : 김현미 국토해양부 장관 / 17곳 시도지사) 
 

작성자 : 안정은 ( 제안자 - 영양사 ) 

주 제 : 식품 안전 
* * * * * * * * * * * * * * * * * * * * * * *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 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1999. 10. 20, 김대중 대통령 / 안상영 부산광역시장 / 윤석천 금정구청장 ) 


제안자 :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기획 감사실 (실장 : 임병철 ) 
지방행정 주사 (6급), 안정은 (安貞垠) 

* * * * * * * * * * * * * * * * * * * * * * * * * 

제 목 : 지하수 판매와 싱크 홀 


한국인이 건강에 대해서 관심이 많아서인지 가까운 마트에 가 보면 지하수 물이 대량으로 나온다. 대신 단 음료수는 별로 보이지 않는다. 

제안자의 제안서(189쪽 ~)에서 
각시도 식품생산연구소에서 산수인 원수를 잘 관리해서 생수인 음용수를 판매할 것을 제안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석사급의 식품생산책임자 1명을 상수도 사업본부에 보내어 물을 생산하여(=검사하여) 판매하는 것인데 
여타의 근무 종사자들은 모두 상수도 사업본부에서 일해 온 현직의 공무원들이며(5년 순회 근무) 생수 운반원, 음용수통 세척인력 등은 5년 기간직인 임시직 공무원들이다. 그러나 생수 판매처는 부산시 식품생산 연구소(명의)이다. 
회계도 분리된다. 시민들이 질 좋은 물을 마시고 이를 식수로 사용하기 위해 시수도를 ‘ 이중 수도화’ 하는 셈인데 이로써 시수도의 수질이 나빠질 것을 염려하는 이들이 많은 듯 했다. 

지금 시중에 나오는 물들은 대부분 지하수가 채취되어 나오고 있는데 이는 지하수가 오염이 적을 것이라고 하여 곳곳의 지하수 업자들이 물을 판매하고 있으며 값도 비교적 헐값이다.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고, 이 지하수를 높은 곳에서 채취해 내니 지하의 물줄기가 아래로 스며서 내리 오지를 못하고 결국 도시에서 싱크 홀이 생겨서 내려앉고 있는 것인데 국토 교통부는 무엇을 하고 있는지.

-- 2015. 4. 13(월) -- 
등록 : 2015. 4. 13(월) 
부산시청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외 
.
재등록 : 2018. 9. 8(토) /2018. 11. 24(토)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오거돈)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외 

**
-----------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연약 지반 


새제목 : 지하수 판매 규제 요청 
관련대호 ********** 9. 8, 토요일 16: 28) 
수신처 : 세종사무소(참조 : 김현미 국토해양부 장관 / 17곳 시도지사) 
 

개발주의자들이 도로 등을 개설하면서 가장 염려하는 것이 땅의 기반이 연약한 ‘ 연약지반’을 우려한다. 부산 수영강변에 난 길이 바로 그것인데 이 길은 광안대교와 연결되어져 있다. 보통 공항이 인천만(인천국제공항), 김해 삼각주 등 바다 가까이에 두는 것은 그 땅에 높은 건물을 세우기가 적당하지 못하고 또한 넓은 활주로가 있어야 하므로 공항이 그런 곳에 서지만 그렇다고 공항이 도심과 멀어야만 하는 것은 아닌 것이다. 부산 수영강변의 길은 새로난 길이며 이 길은 아름다운 광안대교가 연결되는데 이 길가에 부산 영화의 전당이 자리해 있다. 그러나 무거운 짐을 실은 대형 트럭 및 컨테이너를 실은 트럭들은 광안대교가 아닌 부둣길로 많이 다니고 있는데 그것은 이 강변의 길들이 지반이 약한 연약지반이기 때문이다. 
한국은 도로가 잘 연결되면 전국이 일일 생활권이 될 수가 있어 도로가 많이 나 있는 나라인데 국민들에게 생수를 먹이겠다고 국토의 상층에서 마구잡이로 지하수를 채취하면 아래 고속도로들이 내려앉지 않는다고 어찌 보장할 것인가 
상기 ‘ 지하수 판매 규제 요청 ’은 박근혜 정부에서부터 우려의 말이 있었고 그래서 제안자가 몇차례 (2015. 4. 13/ 2018. 9. 8 / 2018. 11. 24 ) 각시도의 전자 게시판에 등록했던 사항이다. 
마구잡이의 지하수 채취로 인해 우려되는 나라 안의 철길 점검은 않고 
북쪽의 철길을 먼저 점검코자 하니 며칠 전 KTX(고속철도) 강릉선에서 탈선사고가 난 것이 아닌가 ! 

첨부 파일 : ♬ 제주도 삼다수, 강원도 해양 심층수 

-- 2018. 12. 11(화) -- 
등록 : 2018. 12. 11(화)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오거돈)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외 

**



목록 휴대폰실명인증후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본인인증서비스 요청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3유형 : 출처표시필요,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경상북도청
담당자
행복콜센터
연락처 :
1522-0120
최종수정일
2021-04-28
페이지 만족도 및 의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