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쭉(철쭉꽃)
|
전 지역의 산지 또는 산능선부의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며 지리산에서는 해발 1,800m이상까지 자란다. 낙엽관목으로 높이 2∼5m에 달하며 어린가지에는 선모가 있으나 성장하면서 없어진다. 잎은 호생하지만 가지
|
산앵도나무
|
산지 중복 이상의 숲속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높이 1m에 달한다. 잎은 호생하고 길이 2∼5㎝로서 넓은 피침형으로 예두, 예저이며 안으로 굽은 잔거치가 있다. 잎의 뒷면 맥위에 털이 있다. 총상화서로서 가지
|
자금우
|
울릉도를 비롯한 난대림 지역의 숲속에서 자라지만 북부 지방에서도 간혹 자라는 상록소관목으로 높이 15∼20㎝에 달하며 지하경 끝이 지상으로 올라와서 줄기가 되어 비스듬히 자라며 잎은 윤생하거나 대생하며 길이
|
노린재나무
|
전 지역의 산지에 자라는 낙엽관목 또는 소교목으로 소지에 털이 있으며 잎은 호생하며 길이 3∼7㎝로서 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 점첨두, 첨두, 또는 둔두이고 기부는 예저이다. 가장자리에 잔거치가 있으나 때로는
|
쪽동백나무
|
각처 산지의 계곡부에서 자라는 낙엽소교목으로 높이 10m에 달한다. 동아는 엽병 기부속에서 생긴다. 잎은 호생하며 길이 7∼20㎝, 너비 8∼20㎝로서 거의 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예두 또는 점첨두이고 기
|
때죽나무
|
중부 이남에 자라는 낙엽소교목으로 높이 10m에 달한다. 가지의 표피가 벗겨지면서 다갈색으로 된다. 잎은 호생하며 길이 2∼8㎝, 너비 2∼4㎝로서 난형 또는 거의 마름모꼴이며 점첨두 또는 첨두이고 예저이며
|
들메나무
|
한대 및 온대 북부지방의 식물로서 경북에서는 청옥산, 주왕산 이북의 산지 계곡부에서 자라고 있다. 낙엽교목으로 높이 30m에 달한다. 잎은 대생하며 기수 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3∼17매이나 보통 7∼11매이
|
물푸레나무
|
산지의 산록부나 산골짜기 부근에 자라는 낙엽교목으로 높이 10m에 달한다. 잎은 대생하며 기수 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5∼7개로 정엽이 제일 크고 아랫잎은 점차 작아진다. 길이 6∼15㎝로서 넓은 난형 또는
|
쇠물푸레나무
|
산지의 능선부에서 주로 자라는 낙엽소교목으로 높이 10m에 달한다. 잎은 대생하며 기수 1회우상복엽으로 6∼9개의 소엽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엽은 난형 또는 장난형이고 점첨두이며 예저 또는 원저이고 거치가 약
|
이팝나무
|
경산시 서림에 군락이 있다. 낙엽교목으로 높이 20m에 달한다. 잎은 대생하며 길이 3∼15㎝, 너비 2.5∼6㎝로서 넓은 난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첨두 또는 둔두이며 예저 또는 원저이다. 어린 나무의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