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딸나무
|
황해도 이남 지역에 자라는 낙엽교목으로 높이 7m에 달한다. 잎은 대생하며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5∼10㎝ 정도이며 점첨두, 원저이고 거치가 없거나 때로는 파상의 거치가 있는 경우도 있다. 측맥은
|
층층나무
|
전 지역의 산골짜기에서 자라는 낙엽교목으로 높이 20m에 달하고 가지는 계단상으로 윤생하며 옆으로 퍼진다. 낙엽 후 소지는 겨울동안 붉은 빛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잎은 호생하며 길이 5∼10㎝로서 넓은 타원
|
산수유
|
경기도 이남 지역에서 자라는 낙엽소교목으로 높이 7m에 달한다. 수피가 잘 벗겨지며 소지는 자갈색이다. 잎은 대생하며 길이 4∼10㎝, 너비 2.5∼6㎝로서 난형, 타원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긴 점첨두이며
|
다래
|
각처의 산골짜기에 자라는 낙엽만경으로서 길이가 10m에 달한다. 잎은 호생하며 넓은 난형 또는 넓은 타원형으로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가늘고 예리한 거치가 있다. 잎의 길이 5∼10㎝, 너비 4∼
|
개다래
|
산골짜기에서 자라는 낙엽만경으로 가지가 길게 자라 길이 5m에 달한다. 어린 가지에는 처음에 담갈색의 털이 있으며 가지의 골속이 백색이다. 잎은 호생하며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점첨두이며, 원저이거나 얕은
|
노각나무
|
소백산, 가야산 지역에 자라는 낙엽교목으로 높이 10∼15m에 달한다. 수피가 얼룩모양을 띤다. 잎은 호생하며 길이 4∼10㎝, 너비 2∼5㎝로서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예두이며, 기부는 원저 또는 넓은
|
동백나무
|
울릉도를 비롯한 남쪽 해안지대와 서해안에서는 황해도의 대청도까지 자라는 상록소교목으로 높이 7m에 달한다. 재배품종이 많다. 수간은 평활하며 수피는 회갈색이다. 잎은 호생하며 길이 5∼12㎝, 너비 3∼7㎝로
|
위성류
|
중국 원산의 낙엽소교목으로 높이 5∼7m까지 자란다. 가지는 가늘고 길며 밑으로 처진다. 인편에 가까운 침형의 잎은 호생하며 길이 1㎜이하이고 예두이고 약간 백록색을 띤다. 총상화서이며 초여름과 가을에 담홍색
|
보리수나무
|
황해도 이남에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높이 3∼4m에 달하며 소지에 흔히 가시가 있으며 어린 가지는 은백색 또는 갈색의 인모가 밀생한다. 잎은 호생하며 길이 3∼7㎝, 너비 1∼2.5㎝로서 타원형 또는 난상 장타
|
보리밥나무
|
울릉도의 해안가에서 자라는 상록만경 또는 상록관목으로 소지에 은백색 및 연한 갈색의 인모가 있다. 잎은 호생하며 길이 5∼10㎝, 너비 4∼6㎝로서 원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원저이고 거치가 없다. 잎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