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경북을 빛낸 인물

no image

김극일(金克一)

모암(慕庵)
활동시기
고려시대
본관
김해
출생시기
1382년(고려 우왕 8년)
시대
고려시대

상세설명

선생의 휘는 극일(克一)이요 자는 용협(用協)이고 호는 모암(慕庵)이며 사시호는 절효(節孝)로 본관은 김해(金海)로서 의흥현감 김서(金서)선생의 아들이며 1382년(고려 우왕8년)에 태어나고 야은 길재(冶隱 吉再)선생의 문인이다. 선생은 어릴 때 부터 총명하여 야은 길재선생 문하에서 수학하여 문장에 능통하며 학문이 매우 깊었다. 선생이 태어나기 전 하루는 아버지인 현감 김서(縣監 金서)선생의 꿈에 주자(朱子)가 현몽하여 말하기를 소학 책 한권을 건내주며 아들이 출생한 후에 이 책을 읽고 깨달으면 출천지 효자를 둘 것이라는 이야기였다.

그날부터 태기가 있어 14개월만에 선생이 태어 났다고 한다. 또한 선생은 어릴 때 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는데 10세가 되기 전에 어머니께서 병을 얻어 종기가 대단하여 화농하였는데 입으로 그 농혈(피 고름)을 빨아내어 낫게 하였으며 그 후 아버지 현감 김서(金서)선생께서 설리를 알아 위중 하실 때 혈분의 맛을 보고 백방으로 약을 구하여 병을 낫게 하였다 한다. 선생이 당상후 30리나 떨어진 묘소까지 조석으로 성묘하여 여막에서 시묘 호곡 하였으니 그 출천지효(出天之孝)에 감천하였는지 하루는 여막에서 옆에 큰 범이 와서 지키더니 선생이 돌아 갈 때 범이 앞에 와서 타라는 시늉을 하고 등에 태우고 운계까지 모셨다 한다. 이를 매일 하루도 빠짐없이 하였다 한다.

선생은 벼슬이 통덕랑(通德郞)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을 지내고 후에 향리에서 아들 육형제의 교육은 물론 후학들의 계도에 힘써 많은 제자들을 배출하였다. 선생이 1456년(세조 2년 丙子)에 돌아가시니 향년 75세였다. 집의(執義)가 증직되고 생전의 출천지효를 칭송하고 후세의 귀감을 삼고자 향리유림과 제자들이 사시호를 절효(節孝)라 하였고 청도군 이서면 서원동에 있는 자계서원(紫溪書院)에 봉안하고 향사 하였다. 선생의 아들 육형제는 장자에 성천 김 건(醒川 金建)선생이고 차자 남계 김맹(南溪金孟)선생, 삼자 김순(金順)선생, 사자 김 인(金인)선생, 오자 김 현(金鉉)선생이고 탁영 김일손(濯纓 金馹孫)선생은 손자이고 삼족당 김대유(三足堂 金大有)선생은 증손이다.

참고문헌 : 인명대사전, 한국인의족보, 도주지, 도주문화, 가락세적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행복콜센터 :
 1522-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