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가을철 발열성 질환

쯔쯔가무시증

개요
  • rientia tsutsugamushi에 의해 감염된 털진드기의 유충에 물렸을 때, 혈액과 림프액을 통해 전신적 혈관염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 발열성 질환
    • 매개진드기에 물린 자리에 가피(eschar)를 나타내는 것이 특징
  • 초원열 (scrub typhus), 잡목열 또는 양충병 이라고도 불림
원인
  • 리케치아의 일종인 O. tsutsugamushi
    • 절대 세포내 기생 세균으로서 Giemsa염색을 하면 그람 음성 간구균(coccobacillus) 모양으로 보통 직경은 0.5-0.7 μm, 길이는 1.2-2.5 μm
    • 원형질은 세포외막과 세포내막으로 싸여 있으며 지당체, 펩티도글리칸, 점액층이 없고 매우 두꺼운 세포벽의 외층을 가지고 있음
    • 항원성이 서로 다른 혈청형이 존재하며, 쥐를 이용한 병독성 시험에서 혈청형에 따라 병원성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숙주 진드기의 종류도 다를 것으로 추정
    • Gilliam, Karp, Kato가 주요 균주이며, 지역별로 특이적인 유행주가 존재하는데 국내는 Boryong주가 주요 유행주임
증상
  • 초기 증상으로 발열, 오한, 두통 등이 있다가 근육통, 기침, 구토, 근육통, 복통 및 인후염이 동반되며 발진과 가피(eschar)가 나타남
    • 가피(eschar) : 직경 5-20mm크기이며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부위에 형성 :
      질병관리본부 역학조사 결과에서 주요 발생부위는 피부가 겹치고 습한 부위, 복부(허리), 겨드랑이, 가슴 등 주로 몸통부위에 발생이 많음
    • 발진 : 발병 5일 이후 몸통에서 나타나 사지로 퍼지는 반점상 구진
    • 국소성 혹은 전신성 림프절 종대와 비장 비대
    •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후 형성된 가피]
      •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후 형성된 가피
      •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후 형성된 가피
예방
  • 예방수칙 : 털진드기 노출 회피 및 증상발생 시 즉시 치료 강조
    • 평상시/농작업 전
      • 전용 농작업복(긴팔·긴바지, 모자, 목수건, 토시, 장갑, 양말, 장화) 구비 및 작업 시 항상 착용
      • 풀숲 제거 : 농경지 및 주변, 거주지 및 주변 등
      • 진드기 기피제 보조 사용 : 농작업복에 도포
    • 농작업 중 : 풀숲과 접촉 기회 회피
      • 풀숲에 옷 벗어 놓지 않기, 휴식 시 돗자리 사용
      • 보조도구 이용 : 농작업용 앞치마 또는 방석
      • 풀숲에서의 용변 금지
    • 농작업 후
      • 농작업복 일체 세탁하기 : 귀가 즉시 평상복과 분리 세탁
      • 목욕 : 귀가 즉시, 입욕을 추천하나 샤워도 가능
      • 적기치료 : 농작업 등 야외작업 수행 후 감기증상이나 가피(검은딱지) 발견 즉시 반드시 의료기관 방문 치료
FAQ
  • Q1. 쯔쯔가무시증의 예방법은 무엇입니까?
    • 야외작업·활동 시 작업복(긴팔·긴바지, 모자, 목수건, 토시, 장갑, 양 말, 장화) 착용, 농경지 및 거주지 주변 풀숲 제거, 풀숲에 옷을 벗어 놓지 않고 휴식 시 돗자리 사용, 야외작업·활동 후 작업복 세탁하기, 귀가 즉시 목욕·사워를 하는 등 예방 수칙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 Q2. 쯔쯔가무시증 증상과 치료법은 무엇입니까?
    • 쯔쯔가무시증의 감염 후 보통 1~3주 정도의 잠복기를 거친 후 급성으로 발생하며, 두통, 발열, 오한, 구토, 발진, 근육통, 기침 등이 나타 나고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부위에 가피가 형성됩니다. 감염초기에 적절한 항생제 치료 시 비교적 용이하게 회복되지만, 단순 감기몸살로 착각하여 치료시기를 놓치기 쉽기 때문에 주로 가을철에 위의 증상이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신속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 Q3. 쯔쯔가무시증은 왜 가을에 많이 발생합니까?
    • 쯔쯔가무시증은 병원체에 감염된 털진드기의 유충이 사람을 물을 때 발생합니다. 연중 발생하지만, 여름철에 산란한 털진드기 알이 초가을부터 본격적으로 부화 할 때 동물이나 사람의 체액을 섭취하며 성장하기 때문에 털진드기 유충이 활동하는 시기인 가을(9~11월)에 매개체와의 접촉을 통해 쯔쯔가무시증에 걸릴 확률이 높습니다. 털진드기의 성충이나 다른 성장단계에서는 미소곤 충류(예: 톡토기)의 알을 먹고 삽니다.

신증후군출혈열

개요
  • 한탄 바이러스(Hantaan virus)와 서울 바이러스(Seoul virus) 등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
원인
  • 한탄 바이러스(Hantaan virus)와 서울 바이러스(Seoul virus) 등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
    ※ 신증후군출혈열은 Bunyaviridae과의 한탄바이러스(Hantavirus)속에 속하는 여러 종의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며, 한탄(Hantaan), 서울(Seoul), 도브라바(Dobrava), 푸말라(Puumala) 바이러스 등이 대표적임 1951-1953년 한국전쟁 중 UN군에서 약 3200명 이상의 신증후군출혈열 환자가 발생하고, 이 중 수백명이 사망함으로써 이에 대한 원인 규명에 나서, 1976년 이호왕 등이 신증후군출혈열 환자의 회복기 혈청과 특이하게 반응하는 항원을 등줄쥐에서 발견, 이 항원이 신증후군출혈열의 원인바이러스임을 확인하고 바이러스를 발견한 한탄강의 이름을 따서 한탄바이러스 (Hantaan virus)로 명명 1976년 제2종전염병 유행성출혈열로 지정되었고 1983년 WHO에서는 신증후군출혈열(HFRS)로 명명하였으며, 2000년부터 제3군 감염병으로 분류
증상
  • 무증상부터 사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임상양상을 보임
  • 발열, 출혈소견, 신부전을 3대 주요 소견으로 함
  • 오한, 두통, 요통, 근육통, 안면홍조, 결막충혈, 겨드랑이와 연구개 점상출혈, 특징적으로 양측 늑척추각 압통, 심한 경우 의식저하나 경련 발생
치료
  • 의사의 진단에 따라 질병 경과에 따른 내과적 대증치료 실시
    ※ 의사의 판단에 따라 ribavirin과 같은 약제를 사용할 수 있음
예방 : 예방접종
  • 접종대상
    • 다음의 대상자 중 위험요인 및 환경을 고려하여 제한적으로 접종할 것을 권장
      • 군인 및 농부 등 직접적으로 신증후군출혈열 바이러스에 노출될 위험이 높은 집단
      • 신증후군출혈열 바이러스를 다루거나 쥐 실험을 하는 실험실 요원
      • 야외활동이 빈번한 사람 등 개별적 노출 위험이 크다고 판단되는 자
  • 예방수칙
    • 유행 지역의 산이나 풀밭에 가는 것을 피할 것 (특히 10 ~ 11월)
    • 들쥐의 배설물 접촉을 피할 것
    • 야외활동 후 귀가 시에는 옷을 꼭 세탁하고, 샤워나 목욕을 할 것
    • 감염위험이 높은 사람은 적기에 예방접종을 받을 것
FAQ
  • Q1. 신증후군출혈열은 어떤 질병입니까?
    • 신증후군출혈열은 한타바이러스 속에 속하는 한탄바이러스, 서울바이러스에의해 나타나는 발열성질환
  • Q2. 신증후군출혈열은 어떻게 감염됩니까?
    • 한탄바이러스의 경우 우리나라 들쥐의 72~90%를 차지하는 등줄쥐가 주로 매개하고, 서울바이러스의 경우는 도시의 시궁쥐가 바이러스를 전파합니다. 설치류들이 한타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병적증상이 나타나지않지만, 타액, 소변, 분변을 통해 바이러스를 체외로 분비하고 이것이 건조되어 먼지와 함께 공중에 떠다니다가 호흡기를 통해 사람에게 감염되는 것으로 추정
  • Q3. 신증후군출혈열에 감염되었을 때 증상이 어떻게 감염됩니까?
    • 무증상부터 사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임상양상을 보입니다. 발열, 출혈소견, 신부전이 주요한 3대 증상이고, 오한, 두통, 요통, 근육통, 안면홍조, 결막충혈, 겨드랑이와 연구개 점상출혈, 특징적으로 양측 늑척추각의 압통 등이 관찰되기도 하며 심한 경우 의식저하나 경련 발생
  • 국내 환자 발생 현황
    • (연도별)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된 1977년 176명이 신고되었고, 2000년 이후에는 매년 약 400명 내외로 발생
    • (월별 현황) 10~12월에 집중되어 발생하고 소수의 환자들이 연중 발생, 지역별 특징 없이 국내 전역에서 보고

렙토스피라증

개요
  • 렙토스피라균(Leptospira species) 감염에 의한 인수공통질환
원인
  • 병원성 렙토스피라균(Leptospira)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열성 질환
    렙토스피라증은 우리나라에서 1975년 가을에 경기, 충북 지역 벼농사 작업자들을 중심으로 유행이 보고, “유행성폐출혈열(epidemic pulmonary hemorrhagic fever)"로 불리우던 원인불명의 질환이었으나 1984년 처음 렙토스피라 균에 의한 감염병을 확인직경이 약 0. 1 ㎛, 길이가 약 6~20 ㎛이며 균체의 끝이 꾸부러져 있고 두 개의 편모를 축으로 몸체가 16~20회 감겨있는 나선균
    • 30℃ 중성 pH에서 잘 자라고 0.22 ㎛ 여과지 filter 통과 가능
    • 암시야 현미경으로 관찰 가능, 활발한 운동성
증상
  • 흔히 초기에는 비특이적으로 독감 유사증상이 4-7일 정도 지속되다, 1-2일의 열이 가라앉는 시기를 거쳐 2기로 진입
    • 1기 : 대부분 경한, 감기몸살과 유사한 임상 경과
      • 갑작스러운 고열, 근육통(장딴지, 허리), 두통(전두부나 눈뒤쪽)
      • 오심, 구토, 복통, 설사, 점막·피부의 일시적 발진, 결막의 심한 발적과 눈부심
    • 2기 : 항체가 형성되면서 혈액이나 뇌척수액에서 렙토스피라가 사라지고 균이 소변에서 검출됨. 일부 경우에서는 발열, 발진 등의 증상이 다시 발생
      • 뇌수막염이나 포도막염이 동반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폐출혈이 발생하기도 함
      • 감염의 5~10%는 초기 경증 증상 4~7일 후에 황달, 신부전, 출혈 등을 보이는 Weil씨 병으로 진행
예방
  • 예방수칙
    • 노출회피 : 균 오염이 의심되는 물에서 수영이나 그 외의 작업을 피하고 오염 가능성이있는 환경에서 작업을 할 때는 피부 보호를 위한 작업복, 장화 착용
    • 홍수 이후 벼베기/벼세우기나 들쥐 포획사업 등의 작업을 하고 수 일 후부터 발열이 발생할 경우 빠른 시간 내에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도록 함
FAQ
  • Q1. 렙토스피라증은 상처 이외에 눈의 점막을 통해 걸릴 수도 있나요?
    • 렙토스피라증은 렙토스피라 균이 오염된 물, 음식 등을 먹거나, 오염된 토 양 및 물 의 접촉하였을 때 감염될 수 있습니다. 특히, 피부 상처를 통해서 감염될 확률은 크며, 눈과 코의 점막을 통해서 감염 될 수 있으므로, 벼 세우기, 추수 등 작업을 할 경우 보호복과 장화, 마스크를 착용하여야 합니다.
  • Q2. 야외활동이나 농사짓는 사람은 꼭 렙토스피라의 예방접종을 맞아야 하나요?
    • 인체용 렙토스피라 백신은 환자수의 감소로 인하여 국내에서 1996년도에 생산중지 되었지만, 항생제 치료는 가능합니다. 그러므로, 야외 활동 후 발열 증상이 나타나면 빠른 시간 내에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으면 대부분 치료 가능합니다.
  • Q3. 렙토스피라는 항체가가 어느 정도나 지속되나요?
    • 렙토스피라에 감염되면 혈청형이나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1~3년간 항체가가 지 속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습니다.
  • 국내 환자 발생 현황
    • 렙토스피라증은 1984년(200여명), 1985년(264명), 1987년(562명), 1990년(129명), 1998년(90명) 등 몇 번의 유행이 보고
      • 1998년 이후 2006년까지 매년 100명 내외로 신고되었으나, 2007년 208명을 정점으로 점차 감소하여 2008년 이래 100명 이내로 신고되었고, 이후 50명 내외로 감소하였으나, 2015년에는 105명으로 증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행복콜센터 :
 1522-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