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문경 김룡사 응진전 석조십육나한좌상 일괄_1
  • 문경 김룡사 응진전 석조십육나한좌상 일괄_1
이전 다음

문경 김룡사 응진전 석조십육나한좌상 일괄

  • 지정 : 유형문화유산
  • 한자명 : 金龍寺 應眞殿 石造十六羅漢坐像 一括
  • 유형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나한상
  • 시대 : 조선
  • 지정일 : 2007-08-31
  • 소재지 : 문경시 산북면 김용길 372
이 불상은 응진전에 모셔진 24軀의 불상으로, 목조인 석가삼존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석조인 16나한과 제석천(帝釋天 2구), 사자(使者 2구), 동자(童子 1구) 등이 봉안되어 있다. 주존을 비롯한 석가삼존불은 모든 부분에서 나한상 등과 양식적으로 차이가 있다. 나한상 등에는 수조각승 수연(守衍)의 스승인 승호파(勝湖派) 양식에 기반한 17세기 말∼18세기 초 경상북도 일대의 조각 양식이 잘 드러나 있다. 이는 김용사 대웅전 불상에서 발견된 발원문에 의해서도 확인되는데, 이를 통해 응진전 불상의 조성시기는 1709년이며 조각승 수연 등에 의해 조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정확한 제작연대와 조각가가 밝혀져 있고 18세기 초반 경상북도 지역의 불상 조각상황을 잘 보여주는 지표자료로서 학술적 가치가 있으므로 석조십육나한좌상 등을 一括(20軀)하여 유형문화재로 지정한다. 다만, 관련기록이 없고 양식분석을 통한 제작시기나 조각승이 밝혀지지 않은 목조석가삼존상(3軀)과 동자상(1軀)은 금번 지정대상에서 제외한다.

학술자료

  • 1. 운달산 김룡사(2012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한기문 , 흥선스님 , 김형수 , 권대웅 , 이우종 , 정명섭 , 임노직 , 권진호 , 엄원식 , 이용윤 , 안계복 / 발행처 : 문경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