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문경 최진일가묘 출토복식_1
  • 문경 최진일가묘 출토복식_1
이전 다음

문경 최진일가묘 출토복식

  • 지정 : 국가민속문화유산
  • 한자명 : 聞慶 崔縝 一家 墓 出土服飾
  • 유형분류 :유물 > 생활공예 > 복식공예 > 의복
  • 시대 : 조선
  • 지정일 : 2009-04-16
  • 소재지 : 문경시 문경옛길박물관
'문경 최진일가묘 출토복식'은 2006년 경북 문경시 영순면에 있는 전주최씨 묘를 이장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유물로, 현재 문경옛길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최진(崔縝)과 그 부인의 묘, 그리고 후손으로 추정되는 묘 등 3기의 묘에서 발견된 유물은 모자, 중치막, 액주름(겨드랑이 아래 주름이 잡혀 있는 곧은 깃의 포제), 저고리, 바지 등 모두 65점이며, 이중 훼손이 심한 유물을 제외한 59점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하였다. 특히 '중치막(中致莫)'과 '족두리형 여모(女帽)'는 지금까지 발굴된 출토복식 중 가장 오래된 시기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중치막은 사대부가의 외출 시 착용하던 옆트임이 있는 곧은 깃의 도포(袍)로, 현재까지 발견된 것은 대부분 임진왜란 이후에 나타난 것이었으나 '문경 최진일가묘 출토복식'의 중치막의 발견으로 임진왜란 전 중치막의 실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어 이 시기 복식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또한 족두리형 여모는 정수리 부분에 원형조각이 있어 족두리 초기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문경 최진 일가묘 출토복식은 16세기 중후반기 남녀복식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서, 이미 지정된 '문경 평산 신씨묘 출토복식(국가민속문화재 제254호)'과 함께 당시 지역의 사회문화상을 엿볼 수 있는 열쇠를 제공하고 있다.

학술자료

  • 1. 중치막 자락에 깃든 사연 : 문경 최진 일가 묘 출토복식(2010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이은주 외 3인, 옛길박물관 / 발행처 : 민속원
  • 2. 옛길박물관 : 길 위의 역사, 고개의 문화 , 문경편(2015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서헌강 외 3인 / 발행처 : 대원사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