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이전 다음

관문성

  • 지정 : 사적
  • 한자명 : 關門城
  • 유형분류 :유적_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시설
  • 시대 : 통일신라
  • 지정일 : 1963-01-21
  • 소재지 : 경주시 외동읍 모화리 산122 외 210필
慶州의 성곽은 山城과 宮城으로 區別할 수 있다. 山城은 王都의 周圍에 있는 산에 쌓아 首府를 지키는 外城이고 宮城은 王이 거처하는 宮을 保護하기 위한 城이다. 慶州의 山城은 山과 연결하는 것이 아니고 山 하나 하나에 축조한 獨立된 城이다. 卽 봉우리를 中心으로 소위 머리여식으로 쌓은 성이다. 이에 대하여 宮城은 平地에 쌓은 것으로 大部分 小規模로서 山城이 石築인데 比하여 宮城은 土築이며 慶州市內에 位置해 있다. 關門城은 이런 예와는 달리 山과 山을 연결하는 길게 뻗은 城이다. 三國史記 聖德王條를 보면 「王 21年(722) 冬十月에 毛伐郡域을 쌓아 倭賊路를 막았다」고 했으니 바로 이해가 創築年代임을 알 수 있다. 한편 三國遺事에는 「角干元眞이 39,262 名의 人夫를 동원하여 쌓았는데 길이가 6.729步 5尺이라」고 하였다. 關門城은 月城郡과 蔚州郡의 境界에 있으며 慶南과 慶北의 道界이기도 하다. 가로 40~50cm, 세로 20~30cm의 잘 다듬은 돌과 自然石을 利用하여 牛朴川을 사이에 두고 있는 양편 높은 산에 東海를 向해서 쌓았는데 이것은 東海쪽에서 기어오르는 倭兵을 감시하기위한 것임이 分明하다. 蔚山灣에 上陸한 倭兵들을 이곳 關門城에서 굳게 지키면 月城까지 쳐들어 오지 못하는 前哨的인 役割을 단當했던 城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三國史記나 三國遺事를 보면 關門城을 쌓은 目的이 倭賊防禦에 있었음은 分明한 일로써 文武王 13年(A.D 673) 9月에 쌓은 北兄山城과 함께 慶州平野의 東쪽, 즉 慶州에 들어올수 있는 가장 좋은 地域인 迎日灣과 蔚山灣에 上陸한 倭兵을 防禦하는데 큰 役割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半月城의 周圍가 1,023步인데 關門城의 길이가 6,792步 5尺이니 後世에 인근주민들이 불렀던 바와 같이 과연 新羅의 萬里長城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지금은 모두 허물어지고 城門址로 推測되는 石築이나 倉址, 兵舍址등이 군데군데 남아 있는데 자세히 살펴보면 南山城을 築造하는데 利用한 돌과 같은 잘 다듬은 돌과 自然石과 함께 쌓은 石壁임을 알 수 있다. 現存하고 있는 南山城과 關門城의 石壁을 비교해 볼 때 關門城을 쌓은 築城術이 훨씬 발달된 築城方式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학술자료

  • 1. 觀光名所案內시리즈(1961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학원사 , 진홍섭 , 홍사준 , 최형우 / 발행처 : 學園사
  • 2. 文化財大觀 : 史跡篇(1976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편 / 발행처 : 文化公報部 文化財管理局
  • 3. 月城文化遺蹟誌(1988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월성문화원 / 발행처 : 月城文化院
  • 4. 세종문화유적총람 . 3(198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발행처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5. 韓國의 城郭과 烽燧 . 下(198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규영 / 발행처 : 한국보이스카우트연맹
  • 6. 우리 고장 문화재 요람 : 국가지정 문화재(199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교육연구원 / 발행처 : 경상북도 교육연구원
  • 7. 문화유적지도(1997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97 문화유산의 해 조직위원회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 발행처 : 97 문화유산의 해 조직위원회
  • 8. 경주역사기행 : 역사를 알면 유물이 보인다(199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하일식 / 발행처 : 그린글
  • 9. 文化財大觀 . 史蹟篇 下(199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문화재청 / 발행처 : 文化財廳
  • 10. (주제별로 떠나는) 경주 여행(2000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주대학교 경주문화연구소 / 발행처 : 경주대학교 경주문화연구소
  • 11. 新羅史 論文選集(2000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한국인문과학원편집부 / 발행처 : 韓國人文科學院
  • 12. (새)문화유적지도(200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 정영호 외 3인 / 발행처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 13. 文化財大觀(200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 발행처 : 경상북도
  • 14. 한국의 석조문화 : 그 아름다움의 절정(2004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박정근 외 8인 / 발행처 : 다른세상
  • 15. 경주역사기행 : 인성교육, 역사교육, 글쓰기교육의 1석3조를 지향하는 경주여행 매뉴얼(2014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정만진 / 발행처 : 인성교육플러스반값학원협동조합
  • 16. 관문성 기초학술조사 보고서(2016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신라문화유산연구원 , 이재현 , 경주시 , 울산광역시 / 발행처 : 신라문화유산연구원
  • 17. 慶南의 古蹟과 그 文化(1955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박경원 / 발행처 : 東雲社
  • 18. 慶州의 古蹟과 傳說(1957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진홍섭 / 발행처 : 通文館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