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_1
  •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_1
  •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_2
  •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_3
  •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_4
  •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_5
  •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_6
  •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_7
이전 다음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 지정 : 국보
  • 한자명 : 安東 法興寺址 七層塼塔
  • 유형분류 :유적_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 시대 : 통일신라
  • 지정일 : 1962-12-20
  • 소재지 : 안동시 법흥동 8-1
한국내에서 최대최고의 전탑(塼塔)이다. 기단은 방형으로 지대석상에 팔부중상(八部衆像)과 사천왕상(四天王像)을 양각한 판석을 일면 6매씩 세우고 그 상면에는 초층옥신 저면에 이르는 공향(空向)은 원경(圓境)모양으로 시멘트로 덮고 정면에는 계단을 설치한 단층기단형식(單層基壇形式)이다. 판석 조각의 수법은 시대가 동일하지 않고 기단 상면 처리도 고식(古式)을 잃고 있어 어느 정도 원형을 보존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탑신부는 회흑색의 무문전(無文塼)으로 축조하였는 바 전(塼)의 크기는 길이 약 28cm, 폭 약 14cm, 두께 약 6cm로 어긋나게 쌓았다. 초층 옥신 남면에는 감실(龕室)을 개설하고 내부는 상부를 방추형(方錐形)으로 줄여 일변 48cm의 방공(方孔)을 만들었는데 찰주공(擦柱孔)으로 추정된다. 이층 이상은 차츰 체감(遞減)되어 칠층에 이르렀다. 옥개는 상하에 층단을 내는 전탑 특유한 형식이며 하부의 층단은 초층부터 구단, 팔단, 칠단, 육단, 오단, 삼단 이며 상면의 층단수는 초층부터 십이층, 십층, 구층, 팔층, 칠층, 육층, 오층이다. 옥개 상면에는 개와(蓋瓦)를 얹었던 흔적이 남아 있으니 전탑에 앞서 목탑이 선행하였다고 추정하는 근거가 될 것이다. 상륜부(相輪部)는 현재 노반(露盤)만이 남아 있는데 영가지(永嘉誌)에 의하면 원래는 금동제(金銅製) 상륜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탑이 소재하는 지명을 「법흥(法興)」이라 호칭하고 있는 점으로 보아 법흥사(法興寺)에 속했던 것으로 추측되나 탑 이외에 남은 유물이 없다. 탑은 조선 성종(成宗) 18년(1487년)에 개축(改築)된 바 있어 어느 정도 원형복원(原形復原)에 충실하였는지 알 수 없으며 영가지에 상유금동지식이고이납궁주성객사소용십물(上有金銅之飾李股而納宮鑄成客舍所用什物) 이라고 있어 상륜도 이때 파손된 것을 알겠다.

학술자료

  • 1. 천년의 숨결 : 국보 찾아 삼만리(201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이한칠 / 발행처 : 신아출판사
  • 2. 2021년 중점 관리대상 문화재 모니터링 결과보고서(2021년 발행)
    보고서 / 저자 : 국립문화재연구원 / 발행처 : 국립문화재연구원
  • 3. 韓國觀光資源總覽(1978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국제관광자원총람 / 발행처 : 韓國觀光資源總覽
  • 4. 安東鄕土誌(198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송지향 / 발행처 : 大星文化社
  • 5. 한국의 사찰(2006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형우 신대현 안병인 / 발행처 : 대한불교진흥원
  • 6. 한국의 사찰(200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대한불교진흥원 출판부 / 발행처 : 대한불교진흥원
  • 7. 경상북도의 석탑Ⅵ(2012년 발행)
    조사보고서 / 저자 : 국립문화재연구소 / 발행처 : 국립문화재연구소
  • 8. 솔도파의 작은 거인들 : 탑파에 새겨진 작은 거인들을 만나다!(2012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주수완 유남해 / 발행처 : 다할미디어
  • 9. 국보·보물 문화유산을 찾아서 , 경상북도(경주·대구 제외)(201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광호 / 발행처 : 혜성
  • 10. (여행자를 위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 1-3(2016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유홍준 / 발행처 : 창비
  • 11.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에 대한 고찰(2017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송봉주 / 발행처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회계관리과
전화번호 :
 054-880-88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