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이미지로보기

영덕 영해향교_1
  • 영덕 영해향교_1
  • 영덕 영해향교_2
  • 영덕 영해향교_3
  • 영덕 영해향교_4
이전 다음

영덕 영해향교

  • 지정 : 문화유산자료
  • 한자명 : 盈德 寧海鄕校
  • 유형분류 :유적_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 시대 : 조선
  • 지정일 : 2006-09-14
  • 소재지 : 영덕군 영해면 성내리 24-1
영해향교는 고려 충목왕 2년(1346) 이천년에 의해 처음 세워졌고 조선 중종24년(1529) 현 위치에 이건하였다. 이후 여러 차례 중건과 보수를 거쳐 경내 대성전을 비롯 명륜당, 동·서재, 태화루, 관리사 등이 배치되어 있으며 명륜당 뒤편 대성전이 중심축을 이루고 있어 전형적인 전학후묘(前學後廟)배치형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전면에 루를 두고 있는 것은 경상도 지방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유형이며 강학공간과 제향공간 사이에 내삼문이나 담을 두지 않아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현재 건물의 주요 구조부는 1706년 중건 당시의 것으로 보이나 태화루의 평면 및 벽체나 창호 등 모두 근년에 개변되어 원형이 많이 훼손되었다. 그러나 영해향교는 고려 때 창건하였고 동해안을 대표하는 지역의 향교이자 유서 깊은 곳으로 1914년 지방제도 개편에 따라 영해가 영덕에 합쳐지면서 일읍일교(一邑一校)의 원칙에 따라 폐교(廢校)되었으나 지역 유림들의 끊임없는 노력으로 지금도 충효 예절 교육을 실시하는 등 그 명맥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학술자료

  • 1. 慶北鄕校誌(1991년 발행)
    조사보고서 / 저자 : 경상북도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발행처 : 慶尙北道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