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이미지로보기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1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1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2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3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4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5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6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7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8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9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10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11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12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13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14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15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16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17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18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19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20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21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22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23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24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25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26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27
  •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_28
이전 다음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

  • 지정 : 유형문화유산
  • 한자명 : 淸道 德寺 靈山殿 石造如來三尊像 및 十六羅漢像
  • 유형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 시대 : 조선
  • 지정일 : 2007-04-30
  • 소재지 : 청도군 화양읍 소라리 산1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님의 영산회상(靈山會相)을 재현한 영산전(靈山殿)에는 석가모니와 10대 제자(弟子), 16나한(羅漢) 혹은 오백나한(五百羅漢)이 함께 모셔진다. 덕사 영산전에는 석가여래좌상을 주불(主佛)로, 과거불인 제화갈라보살(提和渴羅菩薩)과 미래불인 미륵보살(彌勒菩薩)을 보처보살(補處菩薩)로 하여 삼존불을 구성하고, 그 옆에 16나한상을 두고 있다. 나한상은 아난(阿難, 젊은 모습)과 가섭(迦葉, 늙은 모습)이 삼존불 좌우에 대표로 서 있고 좌우측면으로 14명의 나한상과 신장상(神將像)을 각 1구씩 배치시켜 두었다. 삼존상과 나한상은 최근 개금, 개채(改彩) 되었으며 1분의 나한은 새로이 제작되었다. 불상의 딱딱한 얼굴표정, 굳은 자세와 평판(平板)적인 옷 주름 표현 등과 달리 나한이 들고 있는 지물(持物)이나 동물모습에서 드러나는 해학적(諧謔的)인 표현은 명부전 조각과 마찬가지로 조선후기 조각 흐름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명부전 조각들과 마찬가지로 이 존상들도 1678년(숙종4년) 근처 화악산 천주사(天柱寺)에 봉안되었는데 이후 덕사로 옮겨졌다. 복장유물(腹藏遺物)을 통해 명확한 조성연대, 제작자, 존상명 등이 밝혀져 조선후기 불상연구의 중요한 기준작이 되고 있다.
목록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