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울진 죽변등대_1
  • 울진 죽변등대_1
  • 울진 죽변등대_2
  • 울진 죽변등대_3
  • 울진 죽변등대_4
  • 울진 죽변등대_5
  • 울진 죽변등대_6
  • 울진 죽변등대_7
이전 다음

울진 죽변등대

  • 지정 : 기념물
  • 한자명 : 蔚珍 竹邊燈臺
  • 유형분류 :유적_건조물 > 교통통신 > 근대교통_통신시설 > 해운
  •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 지정일 : 2005-09-20
  • 소재지 : 울진군 죽변면 죽변리 1
죽변등대는 1만여평의 부지에 높이 15.6m의 팔각형 백색콘크리트건물로 되어 있으며, 20초마다 선백광조명이 1회돌면서 35km까지 빛이 전달되는데, 명호는 좌 162° 지352°이고 광역 378,000촉광이다. 무신호기는 50초마다 1회의 소리(취명 5초, 정명 45초반복)를 내며 응달거리는 2마일이다. 이 등대는 일제시대인 1910년 11월에 완공되어 첫 점등때 석유등을 썼지만 1946년 자가발전시설을 갖춘 뒤 전기등을 사용해 왔다. 1946년 12월 주등 500W의 시전으로 개량하였으며, 1975년 7월 1,000W의 출력을 내는 등명기로 개량되었다. 한때 1950년 6월 한국전쟁중 폭격으로 인하여 등대기능을 상실하기도 하였으나, 1951년 10월에 전등을 복구하였고 1970년 4월 무신호기를 설치함으로써 안개나 풍우속에서도 선박의 항로를 인도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등대가 건립된 자리는 1904년 러일전쟁시 해상감시용 망루가 설치되었던 곳으로 등대 구내에는 1911년 일본 수로부 수로측량 원표석(대리석)이 보존되어 있다. 竹邊燈臺는 1910년 11월 日帝가 東海岸을 航海하는 선박들의 뱃길을 인도하기위해 건립한 것으로, 이후 主燈 改良(1946. 11), 無信號旗 설치(1970. 4), 燈明機 改良(1975. 7) 등 主要 設備를 보완해오면서 航路를 引導하는 역할을 충실히 해오고 있다. 이 燈臺는 東海岸에서 영일만 장기 곶을 제외하고는 바다로 가장 많이 돌출된 竹邊 마을의 산봉우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 곳에는 과거 烽燧臺가 있었고, 1904년 露日戰爭 때는 日本軍의 海上 監視用 望樓가 設置되기도 하였다. 竹邊燈臺는 콘크리트조 4층(높이 15.6m) 규모의 塔型 구조물로 上部로 갈수록 遞減되어 안정감과 수직 상승감을 느끼게 한다. 平面은 8각형으로 남쪽에 출입구을 내어 쌍여닫이 鐵門을 설치하고, 內部에는 鑄物로 제작한 나선형 철재계단을 設置하여 屋上까지 연결하였으며, 各 層의 천장은 부채 살 모양으로 다듬은 板材로 반자를 구성하였다. 外觀은 남쪽 正面에 포치(Porch)형의 출입구를 두고, 그 위로 2층과 4층부에 평아치형 수직창을 設置하였는데 포치(Porch) 위에는 페디먼트(Pediment) 장식을 넣었으며, 最上層에는 돔(Dome)형의 燈明機를 설치하고, 주위에 파라펫(Parapet)을 돌렸다. 전체적으로 벽면의 여러 線들과 形態要素들이 잘 調和되어 안정감과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 竹邊燈臺는 1910년 11월 日帝가 東海岸을 航海하는 船舶들의 뱃길을 引導하기위해 건립한 것으로 지금까지 그 역할을 충실히 해오고 있다. 이 地域의 랜드마크적 역할 뿐만 아니라 漁民들의 哀歡과 歷史를 담고 있는 近代文化 遺産으로,保存狀態가 良好하고, 건물의 전체 構成이 調和를 이루고 있어 안정감과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 이 외 울진에는 후포등대 1기, 원남면 오산리 오산항 북방파제 등대 1기(고 8.4m)가 설치되었는데, 4초에 1회씩 반짝이며, 5마일까지 불을 밝힌다. 경북 동해안에는 유인등대 7기, 무인등대 63기, 등표 4기등 모두 129기의 등대가 설치되어 있다. 우리나라 등대의 효시는 1903년 6월 1일 경기도 인천시 중구 용유동 산372에 세워진 팔미도등대인데, 일본은 인천개항(1883)때 조선과 체결한 통상잔정에 ‘조선은 통상이후 각 항을 수리하고 등대를 설치한다’는 조항을 내세워 우리나라에 등대건설을 강권했었다. 조선은 1902년 인천에 해관등대국을 설치하고 그 해 5월부터 팔미도등대건설에 착수하여 1903년 6월 등대를 완공했었다. 일본이 이렇게 팔미도등대의 건설을 강권한 것은 1904년 러일전쟁을 대비하기 위해서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금은 옆에 지하1층, 지상4층 규모에 높이 31m의 등탑과 사무실, 전시실, 광장 등을 갖춘 새 등대가 2003년 12월 22일 준공되면서 옛 팔미도등대는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되었으며, 03년 1월 인천시 지방문화재 제40호로 지정되었다.
목록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