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하양향교_1
  • 하양향교_1
  • 하양향교_2
  • 하양향교_3
  • 하양향교_4
  • 하양향교_5
  • 하양향교_6
  • 하양향교_7
이전 다음

하양향교

  • 지정 : 문화유산자료
  • 한자명 : 河陽鄕校
  • 유형분류 :유적_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 시대 : 조선
  • 지정일 : 1985-08-05
  • 소재지 : 경산시 하양읍 교리길 20길 12-5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하양향교는 조선 선조 13년(1580)에 처음 지었고, 영조(재위 1724∼1776) 때 크게 고쳤다. 순조 3년(1803)에 대성전을 수리하였으며 철종 13년(1862)에는 대성전과 명륜당을 수리하였다. 지금 남아 있는 건물로는 대성전과 명륜당, 동재, 서재, 내삼문, 외삼문 등이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서재의 위치는 명륜당 앞인데, 이 향교는 동재·서재가 명륜당 뒤에 있는 특이한 배치 형태를 보이고 있다. 대성전에는 공자를 중심으로 그의 제자와 중국과 우리나라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학술자료

  • 1. 17~18세기 河陽 環城寺 決訟의 전말(2019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이광우 / 발행처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2. 세종문화유적총람 . 3(198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발행처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3. 慶北鄕校誌(1991년 발행)
    조사보고서 / 저자 : 경상북도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발행처 : 慶尙北道
  • 4. 경북향교지 : 제 2 편 각론 ; 22 . 하양향교(1991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연구소자료 / 발행처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5. 慶北鄕校資料集成 . 1(1992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발행처 : 영남대학교출판부
  • 6. 경북향교자료집성 (1) : 하양향교(1992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연구소자료 / 발행처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7. 경산속의 역사 역사속의 경산(199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종국 / 발행처 : 온
  • 8. 校宮大觀 : 全國鄕校記文集(2001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청금녹편찬위원회 / 발행처 : 성균관대출판부
  • 9. 경상북도의 향교건축 : 남서부편(2002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국립문화재연구소 / 발행처 : 국립문화재연구소
  • 10. 慶山地域 鄕校·書院의 祭享 笏記(2002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趙春鎬 / 발행처 : 동양예학회
  • 11. 2004년 일반동산문화재 다량소장처 실태조사 학술용역 보고서 (2004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발행처 : 문화재청
  • 12. 경산지역 향교·서원 祭享 笏記(2004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조춘호 / 발행처 : 대구한의대학교출판부
  • 13. 河陽鄕校誌 . 全(2005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하양향교 / 발행처 : 河陽鄕校
  • 14. 鄕校와 書院의 立地 및 外部空間 分析을 통한 韓國的 敎育環境 摸索 (2006년 발행)
    학위논문 / 저자 : 노송호 / 발행처 : 高麗大學校
  • 15. 儒敎大事典 . 人 , 現況編(2007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유교대사전편찬위원회 / 발행처 : 成均館
  • 16. 慶山地域 鄕校와 書院의 風水立地 比較 硏究(2013년 발행)
    학위논문 / 저자 : 김성용 / 발행처 : 대구한의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 17. 하마비를 찾아서(2014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이희득 / 발행처 : 좋은땅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