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이미지로보기

이전 다음

예천 통명농요

  • 지정 : 국가무형유산
  • 한자명 : 醴泉 通明農謠
  • 유형분류 :무형유산 > 전통연행 > 음악 > 민속음악
  • 시대 : 역사 미상
  • 지정일 : 1985-12-01
  • 소재지 : 예천군 예천읍 통명리 94
통명농요는 예천읍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4km 떨어진 통명동에서 전승(傳承)되어 오고 있다. 이 마을은 고려말 오씨(吳氏)가 먼저 동쪽마을에 정착한 후 차츰 각 성(姓)이 모여 살게 된 것 같다. 현재 이 마을은 총 166가구로 동쪽마을, 골마을, 새골, 함개골, 웃마을, 막주개, 노티기 등 7개 자연촌이 산재되어 있다. 생업(生業)은 미맥(米麥)을 위주로 잎담배 등의 경제작물도 많이 재배하고 있다. 성씨분포는 權氏(30호), 安氏(30호), 金氏(30호), 丘氏(4호), 李氏(30호) 이외에 呂氏 등이 사는 마을이며, 입향조(入鄕祖)로 보이는 오씨의 후손은 1가구 밖에 없다. 또, 통명동은 조선시대 때는 역촌(驛村)으로 여러 가지 민속예능(民俗藝能)이 발달한 마을인 듯하다. 통명농요는 농기(農期)를 맞아 모심기와 논매기를 하면서 힘든 노동의 괴로움을 잊고 지루함에서 벗어나며 농민들이 풍년을 기원(祈願)하는 노래이다. 이 농요는 독특한 곡(曲)과 사(詞)로서 1950년대까지 그 명맥을 유지하면서 전승되던 것이 영농방식의 변화로 차츰 망각되어가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함봉준(咸奉俊, 75세)옹의 구술(口述)로 강원희(姜元熙, 교사, 예천 동부국민학교)가 녹음, 기술하여 완전히 부활된 것이다. 동민들의 말에 의하면 이 노래는 과거에 모심기와 논매기 때뿐만 아니라 제초작업이 끝나는 때인 7월에도 행하여 졌다 한다. 그 시기는 음력 7월 13일 경이다. 이때는 농사 일이 거의 끝나고 수확을 기다리며 동민들이 술 한 잔 먹을 때라 한다. 그래서 이날이 되면 “머슴날”이라 하여 동내에 있는 머슴을 비롯하여 동민들이 모여 술 한 잔 먹고 풋굿을 한다. 이것은 이렇다 할 절차가 없고, 그저 농악을 잡히면서 동내 부농(富農)을 찾아다니며 출가(出歌)를 하고 고된 노동에서 잠깐 동안 휴식을 가지는 행락이다. 특히 머슴을 가진 집에서는 많은 음식물을 장만하여 내놓는다. 「풋굿」은 이앙(移秧)을 마치고 세 번째(혹은 두 번째)의 논매기가 끝나면 가장 바쁜 시기가 지나므로 이때 행하여 지는 우리 농경세시(農耕歲時) 중 하나라 하겠다. 이것은 주로 농민들, 그 중에서도 직접 농경에 종사하는 사람들만이 참가하는 하절(夏節)의 향안(饗宴)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주(地主)가 많은 동성부락(同姓部落)인 경우에는 「머슴들의 잔치」라는 인상이 짙기도 하나 통명동에서는 모든 동민들이 참가하는 놀이라 한다. 통명동에는 “머슴날”이 되면, 풋굿과 함께 통명농요를 밤 깊도록 불렀다 한다. 이는 이른 봄부터 온갖 노고를 다한 농민이 일단락진 망중한(忙中閑)을 즐기는 행사인 것이다. 이런 행사는 노동의 협동을 전제로 한 농가의 공동오락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촌락 전체가 현동해서 참여하는 것에 사회적 의의가 있어 온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현재 통명농요는 전승된 계보가 뚜렷하며, 한 마을에서 외곬로 전승되어 온 희귀한 것이다. 선창자(先唱者)인 이상휴(李相烋)씨는 이 마을 토박이로서 어릴 때부터 노래를 좋아해 마을 사람들을 따라 다니며 배웠다 한다. 이 농요의 구성원은 한 마을의 순수한 농민들로서 40세에서 70세까지 청ㆍ장ㆍ노년층으로 되어 있으며, 온 동민들이 농요의 전승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학술자료

  • 1. (鄕土祝祭 심포지움)鄕土祝祭의 새로운 檢證(1982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 발행처 : 慶熙大學校出版局
  • 2. 重要無形文化財解說 : 舞踊.武藝.飮食篇(1990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문화재관리국 / 발행처 : 文化部 文化財管理局
  • 3. (1993年度)文化財保存管理 國庫補助事業指針(199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문화재관리국 / 발행처 : 文化財管理局,
  • 4. 중요무형문화재 : 농요 [녹음자료](1995년 발행)
    비도서 / 저자 : 문화재청 / 발행처 : 지구레코드
  • 5. 예천통명농요 [비디오녹화자료](1997년 발행)
    비도서 / 저자 : 국립문화재연구소 / 발행처 : 국립문화재연구소
  • 6. 예천통명농요(1999년 발행)
    조사보고서 / 저자 : 국립문화재연구소 / 발행처 : 국립문화재연구소
  • 7. 예천통명농요 . 20 [비디오 녹화자료](1999년 발행)
    비도서 / 저자 : 국립문화재연구소 / 발행처 : 국립문화재연구소
  • 8. 예천통명농요 = 醴泉通明農謠 [비디오녹화자료](1999년 발행)
    비도서 / 저자 : 국립문화재연구소 / 발행처 : 국립문화재연구소
  • 9. 한국의 중요 무형문화재 . 13-28 [비디오자료](1999년 발행)
    비도서 / 저자 : 문화관광부 국립문화재연구소 / 발행처 : 국립문화재연구소
  • 10. 한국의 중요 무형문화재 : 제84-가.나호 [전자자료](1999년 발행)
    비도서 / 저자 : 문화재관리국 / 발행처 : 문화재관리국: 지구레코드
  • 11. 한국의 중요 무형문화재 [비디오 녹화자료](1999년 발행)
    비도서 / 저자 : 국립문화재연구소 / 발행처 : 국립문화재연구소
  • 12. 중요무형문화재 표준교육과정 및 교수요목 고시(안) 개발(2001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박인종 , 한국교육개발원 / 발행처 : 한국교육개발원
  • 13. 韓國의 혼(魂)이 살아 숨쉬는 곳(2002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정론출판사 편집부 / 발행처 : 정론출판사
  • 14. 慶尙北道 文化財委員會會議錄 : 會議書類.報告書 및 會議錄(200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 발행처 : 경상북도
  • 15. 아름다운 만남 : 한권으로 만나는 중요무형문화재 215人 (2004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공연전시팀 / 발행처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 16. 무형문화재를 만나다(2017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광희, 나지혜, 권윤지 / 발행처 : 북코리아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