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이전 다음

경주 서출지

  • 지정 : 사적
  • 한자명 : 慶州 書出池
  • 유형분류 :유적_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원
  • 시대 : 신라
  • 지정일 : 1964-07-11
  • 소재지 : 경주시 남산동 973,974
慶州의 南山東麓에 있으며 新羅 21代王인 炤知王時代에 射琴匣의 傳說과 관계있는 못이다. 炤知王이 卽位 10年(A.D. 448) 正月 15日에 川泉亭에 行幸하였는데 쥐와 까마귀가 나타나서 울어 대더니 쥐가 사람의 말로 「이 까마귀가 날아가는 곳을 찾아가 보시오」라고 지껄였다. 王은 騎士로 하여금 까마귀를 따라가 보도록 하였는데 南쪽으로 避村에 이르자 두 마리의 멧돼지가 한창 싸움질을 벌리고 있었다. 기사는 돼지들의 싸움에 정신을 팔려 한창 구경하다 구경하다 그만 까마귀는 행방을 잃어버리고 말았다. 낙심한 기사가 근처를 배회하고 있노라니 문득 길옆의 연못 속에서 한 노인이 나타나 편지 한통을 전해 왔다. 편지의 겉봉에는 「이 편지를 읽어보면 두사람이 죽을 것이오. 열어보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을 것이다.」라고 씌여 있었다. 자세한 이야기를 들은 왕은 희생을 줄이겠다는 의도로 편지를 읽어보지 않겠다고 했으나 日官이 「두사람이란 일반인이오 한사람이란 왕을 가르킨다」고 상주하니 왕은 그 말이 옳다고 생각하며 편지를 열어보았는데 그 내용은 「거문고갑을 쏘아라」라는 한마디 뿐이 었었다. 왕은 즉시 궁으로 돌아와서 거문고갑을 향해 활을 쏘았다. 그 안에서는 內殿에서 佛事를 맡아 행하는 僧과 궁주가 사통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때부터 우리나라 풍속에는 正月의 初亥日, 初子日, 初午日에는 百事를 삼가고 함부로 행동하지 않으며 정월 보름달은 鳥忌日이라 하여 찰밥을 준비하여 까마귀에게 제사지내 주는 등의 풍속이 생겨 지금까지 행해지고 있다. 이런 풍속들을 속언으로 「달도」라 하는데 그것은 슬프고 근심스런 맘이 들어 행동을 조심한다는 뜻일 것이다. 亥日, 子日, 午日이란 前逑한 說話에 등장하여 炤知王을 이롭게 해준 멧돼지, 쥐, 말 같은 짐승에서 연유된 것으로 생각된다. 지금도 경주지방에는 아이들이 정월 보름날에는 감나무에다 찰밥을 묻으면서 「까마귀 밥주자」고 하는 풍속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풍속을 의미하는 「달도」라는 단어는 한자로는 슬프고 근심스런 것이나 우리말 「설ㆍ슬」과 歲首의 의미인 우리말 「설」과 그 음이 통하니 訓借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달도」는 새해 첫머리 및 거기에 따르는 일련의 습속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연못속에서 한 노인이 나타나 封書를 왕에게 전했다 하여 書出池로 불리워지는 이 못은 주위 약 200m정도의 적은 연못인데 지금 못 안에는 연이 무성히 자라고 있으며 연못가에는 二樂堂이라는 건물이 있는데 이것은 서기 1664년에 任勣이 지은 집이다.

학술자료

  • 1. 新羅史話 : 경주고적안내(1954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손대호 / 발행처 : 善一社
  • 2. 慶州市誌(1958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이영순 / 발행처 : 慶州市廳
  • 3. 慶州의 古蹟 : 新羅古都案內(195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황호근 / 발행처 : 啓蒙出版社
  • 4. 新羅古都 慶州 古蹟案內(195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황병연 / 발행처 : 新生文化社
  • 5. 韓國觀光資源總覽(1978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국제관광자원총람 / 발행처 : 國際觀光資源總覽
  • 6. 세종문화유적총람 . 3(198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발행처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7. 生活狀態調査 . 其七 , 慶州郡(1992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조선총독부 / 발행처 : 民俗苑
  • 8. 경주를 찾아서(199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신인철 / 발행처 : 건들바우박물관 출판부
  • 9. 우리 고장 문화재 요람 : 국가지정 문화재(199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교육연구원 / 발행처 : 경상북도 교육연구원
  • 10. (1994年度)文化財保存管理 國庫補助事業指針(1994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문화재관리국 / 발행처 : 文化財管理局
  • 11. 慶州南山의 佛敎遺蹟 . 3 , 東南山 寺址調査報告書(1998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한국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공예연구실 / 발행처 : 國立文化財硏究所
  • 12. 경주역사기행 : 역사를 알면 유물이 보인다(199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하일식 / 발행처 : 그린글
  • 13. 文化財大觀 . 史蹟篇 下(199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문화재청 / 발행처 : 文化財廳
  • 14. (주제별로 떠나는) 경주 여행(2000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주대학교 경주문화연구소 / 발행처 : 경주대학교 경주문화연구소
  • 15. 경주(2000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 발행처 : 돌베개
  • 16. 경주 南山(2000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신영훈 , 김대벽 / 발행처 : 朝鮮日報社
  • 17. 신라의 마음 경주 남산(2002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박홍국 , 안장헌 / 발행처 : 한길아트
  • 18. 文化財大觀(200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 발행처 : 경상북도
  • 19. 경주(2004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이동미 / 발행처 : 김영사
  • 20. 文化財大觀(2004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주시 / 발행처 : 慶州市
  • 21. 경주 길라잡이(2005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통천문화사 / 발행처 : 통천문화사
  • 22. 탐방 : 화려하지만 단아한 극락의 꽃,연꽃 -경주 서출지(2007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유제영 / 발행처 : 대한보건협회
  • 23. (국역) 경주군(2008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기조 / 발행처 : 경주문화원
  • 24. 경주 남산(2010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환대 / 발행처 : 한국학술정보
  • 25. 서라벌 역사기행 : 천년 고도 경주를 걷다...(2010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천자목 , 김성철 / 발행처 : 두르가
  • 26. 경주역사기행 : 인성교육, 역사교육, 글쓰기교육의 1석3조를 지향하는 경주여행 매뉴얼(2014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정만진 / 발행처 : 인성교육플러스반값학원협동조합
  • 27. 경주 걷기여행 : 살아 있는 역사 박물관(2015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영록 / 발행처 : 터치아트
  • 28. 경주 여행 레시피 : 경주 여행이 더욱 즐거워지는 완벽 가이드(2015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강희은 / 발행처 : 즐거운상상
  • 29. 오늘은 경주(2015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이종숙 , 박성호 / 발행처 : 얘기꾼
  • 30. 사적 제138호 경주 서출지(書出池)의 위치 비정 논란과 역사적 고찰(2017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김형석 / 발행처 : 한국건축역사학회
  • 31. 조선 중기 경주 서출지(書出池) 일원의 정원 조영과 경관 특성(2019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김형석 , 심우경 / 발행처 : 국립문화재연구소
  • 32. 慶州의 古蹟과 傳說(1947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최상수 / 발행처 : 大哉閣
  • 33. 慶州의 古蹟과 傳說(1952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최상수 / 발행처 : 亞細亞社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