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이전 다음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목조광배

  • 지정 : 보물
  • 한자명 : 奉化鷲棲寺石造毘盧遮那佛坐像및 木造光背
  • 유형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 시대 : 통일신라
  • 지정일 : 1989-04-10
  • 소재지 : 봉화군 물야면 개단리 1 축서사
이 佛像은 新羅 下代 卽 9世紀頃에 多量으로 造成되었던 일련의 毘盧舍那佛중의 하나이다.佛像은 螺髮머리에 커다란 肉계가 있고 얼굴에는 고요한 분위기가 감돈다. 身體는 곧고 반듯한 어깨 당당한 가슴에 무릎은 넓게 벌리고 있다. 그리하여 人間的인 형태미와 現實的인 安定感을 느끼게 한다. 通肩의 法衣에는 9世紀以後에 流行한 平行階段式 옷주름이 智拳印을 한 양쪽 팔에 걸쳐 흘러내리고 있고 무릎사이에 넓게 퍼진 옷주름은 물결식 주름을 이루고 있다. 臺座는 八角臺座로 上ㆍ中ㆍ下臺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新羅下代 양식으로 下臺石의 八面에는 獅子, 中臺에는 供養像, 上臺에는 花紋과 蓮花紋등이 彫刻되어 있다. 佛像뒤에는 朝鮮時代에 만들어진 木造光背가 배치되어 있는데 화려한 꽃무늬와 불꽃무늬가 새겨져있다. 이 佛像은 9世紀 後期에 造成되었다는 石塔造成記가 있어 新羅 下代 佛像 硏究에 貴重한 佛像으로 評價되고 있다.

학술자료

  • 1. 8,9세기의 금강계 마하비로자나불상(1968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문명대 / 발행처 : 한국미술사학회
  • 2. 신라하대 비로자나불상 조각의 연구(1978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문명대 / 발행처 : 국립중앙박물관
  • 3.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과 목조광배: 축서사와 왕경 진골 귀족, 그리고 황룡사(2017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임영애 / 발행처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학연구소
  • 4.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목조광배 정밀실측조사보고서(2017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봉화군청 경상북도 / 발행처 : 경상북도 봉화군청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