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이전 다음

배자예부 운략 목판

  • 지정 : 보물
  • 한자명 : 排字禮部 韻略 木板
  • 유형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목판각류 > 판목류
  • 시대 : 조선
  • 지정일 : 1987-07-16
  • 소재지 : 청도군 금천면 선암로 455-27 한국국학진흥원 보관
排字禮部韻略은 詩賦를 지을 적에 韻을 찾기 위하여 만든 字典이다. 주로 科擧에 應試하는 선비들을 爲하여 中國에서 만든 책이므로 科擧를 管掌하는 主務部署인 禮部의 名稱을 붙인 것이다. 宋代에 만들어진 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高麗 以來로 선비들의 必須字典으로 쓰여 왔다. 朝鮮朝에 들어와 「洪武正韻」, 「東國正韻」이 새로 나왔으나, 一般은 여전히 禮部韻略을 使用하여 뒤에 찾기에 簡便한 三韻通故가 普及되기까지 愛用되었다. 그러나 禮部韻略은 現在 매우 稀貴하여 稀貴本에 屬한다. 現存板木의 數量은 152枚이며, 造成年代는 肅宗 5年(1679)에 朴東傅가 彫板한 것이다.

학술자료

  • 1. 文化財大觀(200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 발행처 : 경상북도
  • 2. 한국판 『배자예부운략(排字禮部韻略)』에 대한 재고찰(2019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曲曉雲 / 발행처 : 한국중국언어학회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