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이전 다음

경주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

  • 지정 : 보물
  • 한자명 : 慶州 南山 茸長寺址 磨崖如來坐像
  • 유형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 시대 : 통일신라
  • 지정일 : 1987-03-09
  • 소재지 : 경주시 내남면 용장리 산1-1
이 石佛坐像은 慶州 南山 茸長寺터에서 頂上에 가까운 곳에 있는 8世紀 中葉에 만들어진 規模가 작은 것이다. 現在 머리 部分은 없어졌고 손과 몸체 一部가 망가져 있다. 목에는 뚜렷한 三道가 있고 右肩偏袒한 法衣 자락은 最上段의 臺座部까지 흘러내리듯 表現하였다. 왼손에는 寶珠를 얹고 結跏趺坐한 모습이다. 特히 이 佛像에서 주목되는 것은 다른 佛像臺座에서 볼 수 없는 중첩된 圓形臺座를 하고 있는 점이다. 맨 아래에 自然石 基壇部 위에 圓形의 대좌받침석과 원형대좌를 교대로 三層으로 중첩되게 造成하였으며 最上段의 원형대좌는 仰蓮臺座로 裝飾하였다. 이 磨崖如來坐像은 8世紀 後半에 製作된 優秀한 作品으로 石佛坐像의 뒤편 岩壁에 造像하였으며 蓮花座 위에 결가부좌한 자세에 二重으로 刻出한 頭ㆍ身光을 갖추고 있다. 머리는 螺髮에 肉계가 뚜렷하고 얼굴은 원만ㆍ온화하다. 兩쪽의 귀는 길게 늘어졌으며, 목에는 三道가 뚜렷하다. 法衣는 通肩이면서 平行線의 細密한 옷무늬로 처리한 것은 印度佛像을 연상케 한다. 양손은 降魔觸地印을 하고 있다. 특히 如來坐像의 신광왼쪽에는 造像銘으로 보이는 銘文이 세줄로 10余字 새겨 있으나 現在 判讀은 어렵다.

학술자료

  • 1. 文化財大觀(200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 발행처 : 경상북도
  • 2. (보물편)문화재대관 : 석조(2004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문화재청 / 발행처 : 문화재청
  • 3. 慶州南山 : 石造文化財 精密實測報告書 . 2(2005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 발행처 : 민족문화
  • 4. (살아서 꼭 가봐야 할)경주여행 109선(2007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정선중 / 발행처 : 혜지원
  • 5. (국보·보물) 문화 유산을 찾아서 : 경주시·대구광역시(201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광호 / 발행처 : 혜성출판사
  • 6. 경주 여행 레시피 : 경주 여행이 더욱 즐거워지는 완벽 가이드(2015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강희은 / 발행처 : 즐거운상상
  • 7. 답사여행 1번지 경주 : 2박3일 경주 제대로 즐기기(2016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최동군 / 발행처 : 담디
  • 8. 月城文化遺蹟誌(1988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월성문화원 / 발행처 : 월성문화원
  • 9. 우리 고장 문화재 요람 : 국가지정 문화재(199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교육연구원 / 발행처 : 경상북도 교육연구원
  • 10. 慶州 南山 茸長寺址 磨崖如來坐像의 銘文과 造成年代(1998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박홍국 / 발행처 : 경주사학회
  • 11. (주제별로 떠나는) 경주 여행(2000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주대학교 경주문화연구소 / 발행처 : 경주대학교 경주문화연구소
  • 12. 磨崖佛 保存상태 및 保存방안에 대한 硏究(2003년 발행)
    학위논문 / 저자 : 한병일 / 발행처 :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