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이전 다음

권문해 초간일기

  • 지정 : 보물
  • 한자명 : 權文海 草澗日記
  • 유형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 일기류
  • 시대 : 조선
  • 지정일 : 1986-10-15
  • 소재지 : 예천군 용문면 죽림리 166
≪大東韻府群玉≫의 著者 草澗 權文海의 自筆日記로서 그의 宗家에 保存되어 있는데 各 冊別 狀態 및 特徵은 다음과 같다. 1)先祖日錄(表題紙書名) - 本 日錄은 1冊(117장) 筆寫本(草書) 無界, 半郭 11~13行 字數不定 35.4×23cm 線裝(五針眼) 楮紙로 되어있으며 宣祖 13年 庚辰(1580) 11月 20日~宣祖 17年 甲申(1584) 7月 (5年間)까지의 內容이 적혀있다. 이 日記는 著者가 主로 公州牧使, 成均司成, 司諫院獻納, 司憲府掌令 등의 官職에 있을 때의 記錄으로 個人 일상생활에서부터 當時 京外 各官司에 일어났던 重要 事件 詳述하고 있다. 아울러 同僚나 知舊들과의 往復酬唱한 詩文이나 朝野의 疏답啓 및 王의 傳敎, 批答등도 轉載하여 內容을 더욱 充實히 하고 있다. 2)草澗日記 - 表紙書名 : 日記 1冊(90장) 筆寫本(半行書), 無界, 半郭. 16行 字數不定 39×24.1cm 線裝(五針眼) 楮紙로 宣祖 13年 庚辰(1580) 11月 20日~23年 庚寅(1590) 4月 6日까지의 記錄이며, 記述形式은 ≪先祖日錄≫과 대체로 비슷하나 行數와 每行의 字數가 다소 많고 간혹 半草도 있기는 하나 대부분 半行書로 쓰여지고 체제가 비교적 整然한 점이 다르다. 3)辛卯日記 - 表紙書名 : 辛卯一冊(34장) 筆寫本(草書) 無界. 半郭 7~8行, 字數不定 32.7×18.2 線裝. 楮紙되어 있으며 宣祖 24年(1591辛卯) 7月 1日부터 10月 6日(中間에 缺記가 있음) 著者가 承旨로 있을때의 記錄으로 自身의 日常生活에 대한 記錄보다 주로 承旨로서 직무수행을 通한 朝廷政事에 관한 記錄이다. 이 日記는 著者가 成均館 臺諫, 承政院 등 中央의 要職가 地方官을 지내면서 職務遂行에 關한 諸問題를 다룬 日記인 만큼 朝廷에 일어난 事件은 勿論, 臺諫 및 地方 官衙의 機能과 官吏들의 生活이나 黨爭關係人物 및 政治, 國防, 社會, 敎育, 文化, 地理, 風俗 等 全般에 걸쳐 살필 수 있는 史料이다. 이 日記는 壬亂 이전 관료의 自筆日記로서 兵禍로 燒失된 壬亂 이전의 缺乏된 史料를 보안하는데 所重한 資料로 評價된다.

학술자료

  • 1. 草澗日記 : 附:竹所日記(1997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권문해 국학진흥연구사업 추진위원회 / 발행처 : 韓國精神文化硏究院
  • 2. 초간일기(2012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권문해 장재석 박미경 이지락 김정기 한국국학진흥원 / 발행처 : 한국국학진흥원
  • 3. 16~17세기 예천권씨가(醴泉權氏家)의 친족관계와 의례생활 - 초간일기와 죽소부군일기를 중심으로 -(2015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김윤정 / 발행처 : 국립민속박물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