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이전 다음

울진 불영사 응진전

  • 지정 : 보물
  • 한자명 : 蔚珍 佛影寺 應眞殿
  • 유형분류 :유적_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 시대 : 조선
  • 지정일 : 1981-07-15
  • 소재지 : 울진군 서면 하원리 122
이 建物은 1984年 解體補修시에 發見된 重修記에 依하면 蔚珍郡 西面 下院里 當初 靈山殿이었던 建物이다. 新羅 眞德女王 5年(651)에 義湘法師에 依하여 시창되었다 하나 그 후 오랫동안 많은 중창을 거쳐 現在에 이르렀으니, 萬曆 6年(1578 朝鮮 宣祖 11年)과 崇禎 2年(1629, 仁祖 7年) 康熙 4年(1665, 顯宗 6年), 康熙 55年(1716, 肅宗 42年) 등의 중창 기록이 있다. 建物은 正面 3間, 側面 2間의 작고 아담한 多包系 맞배집으로 특히 공包가 建物의 側面에도 돌려져 있음이 特徵이다. 前面에는 中央間에 出入을 爲한 분합문과 양 협간에 높은 位置에 살창을 달았다. 全體的으로는 朝鮮中期인 特徵을 보이나 첨遮 및 쇠서 등에서는 朝鮮 初期的 手法이 잘 남아있고 架構의 結句方法도 致密하게 꾸민 建物이다. 특히 內部에는 빗반자를 외측으로 돌리고 있다. 집의 구조로 보아 당초에는 팔작지붕이었던 것으로 추측되나 언제 지붕이 맞배로 변형되었는지 알 수 없다.울진군 - 이 건물은 1984년 해체, 보수시에 발견된 上樑文에 의하면 당초 靈山殿이었던 건물이다. 新羅 眞德女王 5년(651)에 義湘大師에 의하여 시창되었다고 전한다. 그 후 오랜 세월동안 많은 중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니, 萬曆 6년(1578, 선조 11년)과 崇禎 2년(1629, 인조 7년), 康熙 4년(1665, 현종 6년), 康熙 55년(1716, 숙종 42년) 등의 중창기록이 있다. 건물은 정면 3칸×측면 2칸의 작고 아담한 多包系 맞배집으로 특히 공포가 건물의 측면에도 돌려져 있음이 특징이다. 전면에는 중앙칸에 출입을 위한 분합문과 양 협칸에 높은 위치에 살창을 달았다. 전체적으로는 조선 중기적인 특징을 보이나 첨차 및 쇠서 등 조선 초기적 수법이 잘 남아 있고 架構의 結構방법도 치밀하게 꾸민 건물이다. 특히 내부에는 빗반자를 외측으로 돌리고 있다. 맞배지붕 건물로는 특이하게 건물 4면에 모두 공포를 배치한 것으로 보아 처음 지어졌을 때에는 팔작지붕 건물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학술자료

  • 1. 佛影寺 應眞殿 修理報告(1984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田有泰 鄭相澈 / 발행처 : 국립문화재연구소
  • 2. 건축문화재 해체수리 자료집 : 사찰건축편(2010년 발행)
    조사보고서 / 저자 :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김덕문,강현,최유진,서은성,최맹식 / 발행처 :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
  • 3. 울진 불영사 응진전 : 정밀실측조사보고서(2012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문화재청 / 발행처 : 문화재청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