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청도 장연사지동ㆍ서 삼층석탑_1
  • 청도 장연사지동ㆍ서 삼층석탑_1
  • 청도 장연사지동ㆍ서 삼층석탑_2
  • 청도 장연사지동ㆍ서 삼층석탑_3
  • 청도 장연사지동ㆍ서 삼층석탑_4
  • 청도 장연사지동ㆍ서 삼층석탑_5
  • 청도 장연사지동ㆍ서 삼층석탑_6
  • 청도 장연사지동ㆍ서 삼층석탑_7
  • 청도 장연사지동ㆍ서 삼층석탑_8
  • 청도 장연사지동ㆍ서 삼층석탑_9
  • 청도 장연사지동ㆍ서 삼층석탑_10
  • 청도 장연사지동ㆍ서 삼층석탑_11
  • 청도 장연사지동ㆍ서 삼층석탑_12
  • 청도 장연사지동ㆍ서 삼층석탑_13
  • 청도 장연사지동ㆍ서 삼층석탑_14
  • 청도 장연사지동ㆍ서 삼층석탑_15
  • 청도 장연사지동ㆍ서 삼층석탑_16
  • 청도 장연사지동ㆍ서 삼층석탑_17
이전 다음

청도 장연사지동ㆍ서 삼층석탑

  • 지정 : 보물
  • 한자명 : 淸道 長淵寺址 東ㆍ西 三層石塔
  • 유형분류 :유적_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 시대 : 통일신라
  • 지정일 : 1980-09-16
  • 소재지 : 청도군 매전면 장연리 108
이 탑은 統一新羅時代에 造成된 三層石塔이다. 原來 雙塔伽藍의 塔이었으나 雙塔中 西塔은 數年前 도괴되어 개천가에 있던 것을 1979年 12月 原位置에 復元하고, 東塔은 1984年 12月 解體 補修하여 周圍를 整備하였다. 높이는 4.8m, 基壇높이 1.56m의 이 雙塔의 基壇部는 二重基壇이며, 屋身은 各面에 隅柱 2個씩을 模刻했을 뿐, 다른 장식은 없다. 屋蓋는 4段의 받침과 2段의 옥신괴임을 刻出하였으며, 新羅時代 典型的인 形式을 갖춘 石塔이다. 東塔 解體 補修中에 1層 옥신석 上段에서 舍利藏置가 발견되었다.

학술자료

  • 1. 地方文化財大觀(1984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문화재과 / 발행처 : 경상북도
  • 2. 우리 고장 문화재 요람 : 국가지정 문화재(199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교육연구원 / 발행처 : 경상북도 교육연구원
  • 3. 文化財大觀(200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 발행처 : 경상북도
  • 4. (보물편)문화재대관 : 석조(2004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문화재청 / 발행처 : 문화재청
  • 5. 한국의 탑 : 보물편 . 상(200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환대, 김성태 / 발행처 : 한국학술정보
  • 6. 경상북도의 석탑Ⅳ(2010년 발행)
    조사보고서 / 저자 : 국립문화재연구소 / 발행처 : 국립문화재연구소
  • 7. 나한전 문살에 넋을 놓다(2011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박필우 / 발행처 : 서해문집
  • 8. 국보·보물 문화유산을 찾아서 , 경상북도(경주·대구 제외)(201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광호 / 발행처 : 혜성
  • 9. 청도 장연사지 삼층석탑의 디지털 복원(2014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구자봉 / 발행처 : 한국고대학회
  • 10. 智異山 地域 統一新羅 石塔 硏究(2018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박현서 / 발행처 : 불교미술사학회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