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이전 다음

이형상 수고본

  • 지정 : 보물
  • 한자명 : 李衡祥 手稿本
  • 유형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 고본
  •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 지정일 : 1979-02-08
  • 소재지 : 영천시 성내동 97-1
이 著書는 朝鮮 肅宗 英祖朝의 文人 李衡祥이 남긴 것이다. 李衡祥(1653~1733)의 字는 仲玉, 號는 병와(甁窩) 順翁, 本貫은 全州, 孝寧大君의 10代孫이다. 肅宗 3年(1677)에 司馬試, 同王 6年(1680)에 文科試에 及第한 후 戶曹佐郞, 淸州牧使, 東萊府使, 濟州牧使 등을 지냈다. 그 후 벼슬을 사양하고 永川의 江가 城皐에 浩然亭을 짓고 30餘年間을 後學養成과 著述에 전념했다. 그의 學問領域은 매우 넓고 깊어서 經學 및 性理學을 비로사여 禮學, 歷史, 傳記, 地理, 詩文에 이르는 넓은 分野를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서 다루고 있다. 그는 著書뿐만 아니라 관련된 簡札, 敎旨 등의 古文書 그리고 印刻 其他 遺品도 남겨 놓았다.이 遺稿는 先後天 · 樂學拾零 · 樂學便考 · 江都誌 · 南宦博物誌 · 東耳刪略 · 耽羅順歷圖 · 遯筮錄 · 覆부類目 · 靜安餘噴 등이다.

학술자료

  • 1. 역사스페셜(2000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KBS 역사스페셜 / 발행처 : 효형출판
  • 2. 文化財大觀(200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 발행처 : 경상북도
  • 3. 병와 이형상의 삶과 학문(2008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전주이씨병와공파종회 / 발행처 : 전주이씨병와공파종회
  • 4. 남환박물 : 남쪽 벼슬아치가 쓴 18세기 제주 박물지(200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이형상 / 발행처 : 푸른역사
  • 5. 『강도지(江都志)』에 보이는 ‘갑곶성황제(甲串城隍祭)’에 대한 검토(2012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김영준 / 발행처 :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 6. 섬 문화로 본 제주 춤의 정체성 : <탐라순력도> 와 <입춘굿 탈놀이> 를 중심으로(2012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김운미, 김윤지 / 발행처 : 한국무용사학회
  • 7. 국보·보물 문화유산을 찾아서 , 경상북도(경주·대구 제외)(201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광호 / 발행처 : 혜성
  • 8. 병와 이형상 : 300년 전, 백성 편에 선 목민관의 목소리(2014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이정옥 / 발행처 : 글누림
  • 9. 이형상의 일본지리지 『동이산략(東耳散略)』 연구(2015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구지현 / 발행처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10. 특집논문 : 원류(原流), 인간(人間), 교류(交流) ; 『탐라순력도』의 지형경관에 투사된 지형인식(2016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김태호 / 발행처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