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이전 다음

고령 장기리 암각화

  • 지정 : 보물
  • 한자명 : 高靈 場基里 岩刻?
  • 유형분류 :유물 > 일반조각 > 암벽조각 > 암각화
  • 시대 : 선사
  • 지정일 : 1976-08-06
  • 소재지 : 고령군 고령읍 장기리 813
이 遺蹟은 높이 3m, 너비 6m 정도의 산비탈 절벽에 겹둥근무늬(同心圓紋)ㆍ십자무늬(十字紋) 탈모양(假面)등을 쪼기수법으로 새긴 先史時代의 암벽조각이다. 겹둥근무늬는 세겹인데 모두 4점으로 흔히 해(日)나 달(月)등을 상징한다고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함께 탈모양은 17점이나 새겨져 있어서 이 암벽조각이 성격을 시사하고 있다. 위가 넓은 사다리꼴에 사방으로 수염같은 것이 뻗게 하였으며, 中心에는 線을 그어 아래위로 구멍을 새겼는데, 눈ㆍ코ㆍ입 등은 상징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形態는 蔚州 盤龜臺나 시베리아 암벽의 탈과는 差異가 있고 그 모양이 방패형태와 비슷해서 탈이 아닐 수도 있지만 시베리아탈, 가운데 이와 유사한 모양이 있어서 탈일 가능성은 있다. 그러나 이들 둥근무늬(圓紋)나 탈모양등은 우리나라 선사 암벽조각을 대표하는 울주 암벽조각에 比해서 그 모양이 相當히 單純化되었고 역시 圖式化 내지 形式化되었으므로 製作年代는 인접해서 발견되는 石器나 土器와 비슷하게 靑銅器 後期 내지 初期鐵器時代로 생각된다. 이것은 當時 住民들이 農耕儀式때 使用했던 宗敎的인 뜻을 가진 암벽조각으로 생각되며, 우리나라 先史文化硏究에 貴重한 資料로 생각된다.

학술자료

  • 1. 관광레저 365일 . 제8권 , 경북.대구(199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한국자료정보사 / 발행처 : 한국자료정보사
  • 2. 南北 觀光總覽 : 交通.觀光.登山.낚시.골프.避暑地.綜合안내(199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박세준 / 발행처 : 우성기획
  • 3. 文化財大觀(200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 발행처 : 경상북도
  • 4. 국보·보물 문화유산을 찾아서 , 경상북도(경주·대구 제외)(201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광호 / 발행처 : 혜성
  • 5. 고령 장기리암각화의 재인식과 재평가(2017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울산대학교 반구대암각화유적보존연구소 / 발행처 : 울산대학교 반구대암각화유적보존연구소
  • 6. 고령 장기리 암각화 고찰 : 고고학적 맥락을 중심으로(2017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강봉원 / 발행처 : 한국암각화학회
  • 7. 고령 장기리 암각화로 본 한국 선사고대인의 신앙과 민속(2017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장장식 / 발행처 : 한국암각화학회
  • 8. 고령 장기리암각화 연구(2017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전호태 / 발행처 : 한국고대사학회
  • 9. 고령 장기리암각화의 고고학적 위상(2017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신대곤 / 발행처 : 한국암각화학회
  • 10. 대가야 건국신화와 고령 장기리 알터암각화(2017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전호태 / 발행처 : 한국암각화학회
  • 11. 한국의 검파형 암각화와 문화유산 스토리텔링(2017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전호태 / 발행처 : 부산경남사학회
  • 12. 고령 장기리 암각화 : 정밀실측조사보고서(201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고령군 / 발행처 : 고령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