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영천 선원동 철조여래좌상_1
  • 영천 선원동 철조여래좌상_1
  • 영천 선원동 철조여래좌상_2
  • 영천 선원동 철조여래좌상_3
  • 영천 선원동 철조여래좌상_4
  • 영천 선원동 철조여래좌상_5
  • 영천 선원동 철조여래좌상_6
  • 영천 선원동 철조여래좌상_7
  • 영천 선원동 철조여래좌상_8
  • 영천 선원동 철조여래좌상_9
  • 영천 선원동 철조여래좌상_10
  • 영천 선원동 철조여래좌상_11
이전 다음

영천 선원동 철조여래좌상

  • 지정 : 보물
  • 한자명 : 永川 仙源洞 鐵造如來坐像
  • 유형분류 :유물 > 불교조각 > 금속조 > 보살상
  • 시대 : 고려
  • 지정일 : 1969-07-30
  • 소재지 : 영천시 임고면 선원리 770
이 佛像은 現在 佛身만 남아있지만, 두손이 없어졌고, 鑄造후에 때움한 흔적이 곳곳에 있을 뿐 그 외는 완전한 편의 鐵佛像이다. 높직한 肉 에 中央 珠가 뚜렷한 螺髮의 머리모양, 얼굴면적에 비해 눈꼬리가 올라간 긴 눈, 작은 코와 입, 隆起된 인중을 나타낸 굳은 얼굴표정은 이 시대의 특징을 잘 말해주고 있다. 넓은 어깨, 발달된 젖가슴, 잘쑥한 허리 등 몸의 屈曲이 표현된 健壯한 身體로 앞 시대의 佛像樣式을 따르고 있으나 가늘어진 팔, 量感이 줄어든 다리는 다소 어색한 느낌을 준다. 안정된 身體의 얇은 右肩偏袒의 法衣가 간략한 옷주름을 形成하여 몸에 밀착되어 흐르고 있다. 이처럼 이 佛像은 高麗前期의 樣式을 대변해 주고 있는 우수한 鐵佛像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다.

학술자료

  • 1. 우리 고장 문화재 요람 : 국가지정 문화재(199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교육연구원 / 발행처 : 경상북도 교육연구원
  • 2. 文化財大觀(200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 발행처 : 경상북도
  • 3. 한국의 불상(2009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환대 / 발행처 : 이담Books
  • 4. 국보·보물 문화유산을 찾아서 , 경상북도(경주·대구 제외)(201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광호 / 발행처 : 혜성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