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_1
  •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_1
  •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_2
  •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_3
  •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_4
  •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_5
  •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_6
  •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_7
이전 다음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

  • 지정 : 보물
  • 한자명 : 淸道 雲門寺 石造四天王像
  • 유형분류 :유적_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기타
  • 시대 : 통일신라
  • 지정일 : 1963-01-21
  • 소재지 :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1789 운문사
현재 작압전내(鵲鴨殿內)에 봉안(奉安)된 석조여래좌상(石造如來坐像)(보물 제317호)의 좌우(左右)에 이기(二基)씩 도합(都合) 4기(基)의 석주(石柱)가 배열(配列)되었는데 각일면(各一面)에 사천왕상(四天王像) 일구(一軀)씩을 조각(彫刻)하였다. 사구(四軀)가 모두 악귀(惡鬼) 생령좌상(生靈座上)의 입상(立像)으로서 몸에는 무복(武服)을 입고 천의(天衣)를 나부끼며 머리에는 원형(圓形) 두광(頭光)을 구비(具備)하고 있다. 사기(四基) 석주(石柱)의 각부조각(各部彫刻)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상 향(向)하여 좌측부터 실측(實測)순대로 제일석주(第一石柱), 제이석주(第二石柱), 제삼석주(第三石柱), 제사석주(第四石柱)라고 부른다. 제일석주(第一石柱)는 입상(立像)이 직립(直立)의 자세가 아니고 좌향(左向)하였으므로 면상(面相)과 양각(兩脚), 그리고 양쪽 발의 놓임이 좌향(左向)이다. 목에는 영락(瓔珞)이 걸려있고 우완(右腕)에 걸친 천의(天衣)는 유려(流麗)하게 드리워졌으며 우수(右手)에 삼고저를 쥐었고 우수(右手)로는 천의(天衣)를 잡고 있다. 족하(足下)의 악귀(惡鬼)는 머리와 엉덩이를 눌리어 신음(呻吟)하고 있다. 제이석주(第二石柱)의 입상(立像)은 정면(正面)하고 있는데 면상(面相)은 온화(溫和)하고 지체(肢體)는 우아(優雅)하다. 좌수(左手)는 어깨까지 들어서 보탑(寶塔)을 받들고 있으며 우수(右手)는 늘어뜨려서 오지(五指)를 활짝 벌리고 있다. 족하(足下)의 악귀(惡鬼)는 양쪽 어깨를 눌리어 입이 찢어질 듯 신음(呻吟)하고 있다. 제삼석주(第三石柱)의 입상(立像)은 정면(正面)하였는데 온화(溫和)한 면상(面相)이나 균정(均整)한 지체(肢體)가 제이석주(第二石柱)의 입상(立像)과 상통(相通)된다고 할 것이다. 좌수(左手)는 어깨까지 들어 화지(花枝)를 잡고 있으며 우수(右手)는 약간 구부려 우각(右脚)에 놓고 있다. 두부(頭部)의 원광내(圓光內)에는 보관(寶冠)으로부터 날리는 관대(冠帶)가 좌우(左右)로 유려(流麗)하게 조식(彫飾)되었으며 양완(兩腕)에 걸친 천의(天衣)가 양쪽 발밑까지 드리워져 있다. 족하(足下)의 악귀(惡鬼)는 양쪽 어깨를 눌리어 두 눈이 휘둥그래져서 이를 악물고 신음(呻吟)하고 있다. 제사석주(第四石柱)의 입상(立像)은 정면(正面)이 아니고 우향(右向)한 자세임으로 면상(面相)도 우측(右側)으로 돌리고 양쪽 발끝도 우측(右側)을 향하였다. 눈이 큰 노안(怒眼)을 하고 양수(兩手)에 장검(長劍)을 들었는데 좌수(左手)는 제전(臍前)에서 검파(劍把)를 쥐었으며 우수(右手)는 흉전(胸前)에 들어 외장(外掌)하여 장검(長劍) 중심부(中心部)를 잡고 있다. 그리고 양완(兩腕)에 걸친 천의(天衣)는 좌우(左右)로 펼쳐지며 유려(流麗)하게 흘렸으며 보관(寶冠) 양측으로부터 날리는 관대(冠帶)도 원형(圓形) 두광내(頭光內)에 조식(彫飾)되었다. 족하(足下)의 악귀(惡鬼)는 우향(右向)하여 꾸부렸는데 어깨와 엉덩이를 눌리어서 입을 딱 벌리고 신음(呻吟)하고 있다. 전체(全體)의 조형(造型)이 온유우려(溫柔憂慮)하며 조각수법(彫刻手法)은 매우 사실적(寫實的)이라 하겠다. 이 석주(石柱)들이 여하한 건축(建築)에 사용되었던 것인지는 분명치 않고 그 위치가 이동되어 상명(像名)을 명확히 알 수 없으나 각자(各者)의 지물(持物)이나 면상(面相)으로 보아 제일석주(第一石柱)는 증장천상(增長天像), 제이석주(第二石柱)는 다문천상(多聞天像), 제삼석주(第三石柱)는 광목천상(廣目天像), 제사석주(第四石柱)는 지국천상(持國天像)이 아닌가 생각된다. ※ 크기 : 第一石柱 高1.52m, 幅43cm, 立像 高1.14m 第二石柱 高1.64m, 幅46cm, 立像 高1.18m 第三石柱 高1.63m, 幅54cm, 立像 高1.28m 第四石柱 高1.53m, 幅52cm, 立像 高1.22m

학술자료

  • 1. 운문사(雲門寺) 작갑전(鵲岬殿) 석조(石造) 석가불좌상(釋迦佛坐像)과 사천왕상(四天王像)의 도상 연구(2018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문명대 / 발행처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2. 운문사 전탑의 구조와 석조여래좌상 및 사천왕석주의 배치 연구(2020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김영옥 / 발행처 : 대구사학회
  • 3. 청도 운문사 작압전 석불좌상과 석조사천왕상에 대한 고찰(2020년 발행)
    학술논문 / 저자 : 최성은 / 발행처 : 신라사학회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