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식품안전정보

제목
식약청, 수산물 중 중금속 안전관리 강화한다!
  • 등록일2012-06-21 00:00:00
  • 작성자 관리자
내용
- 섭취형태를 고려한 내장을 포함한 꽃게, 낙지 기준 설정 -

□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이희성)은 식품 중 중금속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우리나라 국민의 실제 식품 섭취 형태를 고려하여 내장을 포함한 꽃게 및 낙지의 중금속 기준을 설정한「식품의 기준 및 규격」개정안을 행정예고 하였다고 밝혔다.
※ 식품내 중금속오염은 생산환경, 대기, 토양, 농업용수, 해수 등의 오염에 유래하여, 먹이사슬에 의해 식품원료인 생물체에 그 특성에 따라 양을 달리하여 축적되어 모든 식품에 함유
○ 이번 개정(안) 주요 내용은 ▲식품 중 중금속 기준 신설 ▲방사능 핵종에 대한 선정 원칙 신설 ▲유해오염물질 기준설정 원칙 신설 ▲원료 등의 구비요건 기준 개정 ▲건조 농?임?축?수산물의 중금속 기준 적용 개정 등이다.
- 중금속 등과 같은 유해오염물질 기준은 식품의 오염도와 섭취량에 따른 인체 총 노출량 및 위해수준 등을 고려하여 최소량의 원칙(As Low As Reasonably Achievable, ALARA)에 따라 설정한다.

□ 식약청은 특히 식품 중 중금속 기준 신설의 경우, 어린이 등의 섭취량이 많은 해조류(김) 및 사탕, 통상적으로 내장을 섭취하는 수산물(꽃게, 낙지)에 대한 중금속 기준을 강화한다고 설명하였다.
○ 연체류 및 패류의 경우 현재 중금속 기준보다 강화될 예정으로, 낙지의 경우 내장을 포함한 납, 카드뮴 기준을 적용받게 된다.
※ 현재 연체류 및 패류의 중금속 기준 : 납(2.0mg/kg 이하), 카드뮴(2.0mg/kg 이하)
- 내장을 포함한 낙지의 납 기준은 2.0mg/kg 이하, 카드뮴 기준은 3.0mg/kg 이하로 관리되며, 내장을 뺀 가식 부위의 기준은 기존과 동일하다.
○ 갑각류는 중금속 기준이 새로 신설되어, 가식부위 기준 및 내장(꽃게류)을 포함한 전체 중금속 기준이 마련되게 된다.
- 갑각류 납 기준은 1.0mg/kg이하이며, 내장을 포함한 꽃게류 기준은 2.0mg/kg 이하로 설정된다.
- 카드뮴 기준은 1.0mg/kg이하이며, 내장을 포함한 꽃게류 기준은 5.0mg/kg 이하로 신설된다.
○ 또한 건조 김(조미김 포함)의 카드뮴 기준(0.3mg/kg 이하), 사탕의 납 기준(0.1mg/kg 이하)과 함께 흑삼의 벤조피렌 기준(2.0 null;g/kg 이하)도 설정된다.

□ 식약청은 이번 개정(안)을 통해 보다 강화된 수산물 중금속 안전관리가 이루어지고, 우리나라 국민의 식품을 통한 중금속 노출량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앞서 식약청은 지난해 10월 유해오염물질 안전관리 종합대책 수립을 통해 우리나라 국민의 식품을 통한 중금속 인체 총 노출량을 주기적으로 평가하여 관리해나갈 방침이라고 밝힌 바 있다.
※ 우리나라 국민의 식품을 통한 중금속 인체 총 노출량 : 인체노출안전기준(인체섭취허용량) 대비 납은 9.8%, 카드뮴은 22.7%, 수은은 13.6%, 비소는 6.1%으로 안전한 수준
○ 이번 개정(안)의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kfda.go.kr) 뉴스/소식 입법/행정예고란)에서 확인 가능하며, 의견이 있는 단체 또는 개인은 2012년 8월 19일까지 제출할 수 있다.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첨부파일이 다운로드 되지 않을 때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식품의약과
전화번호 :
 054-880-3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