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식품안전정보

제목
11년 식품이물 발생건수 전년 대비 34.5null
  • 등록일2012-02-10 00:00:00
  • 작성자 관리자
내용
- 식품이물 보고 의무화 및 이물 저감화 영향 -

□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이희성)은 지난해 식품이물 혼입 저감화 노력으로 11년 식품 이물 발생 건수가 5,631건으로 전년(8,599건)보다 34.5%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 식품업체 보고의 경우 11년 4,119건으로 전년(6,258건) 대비 34.2% 줄었으며, 소비자 신고도 지난해 1,512건으로 전년(2,341건)에 비하여 35.4% 감소하였다.
○ 이는 식품업체 이물 보고 의무화( 10.1) 이후 지속적인 원인 규명을 통한 이물 혼입 경로의 차단 및 업체의 이물 관리 노력의 결과로 판단된다.
※ 그간 품목별 이물 혼입방지 가이드라인, 이물 제어장치 운용 및 이물 저감화 매뉴얼 등 개발보급, 업체 자율 이물관리 협력 네트워크 운영 등 업체의 이물 관리 기술 지원

□ 식품이물 혼입 원인이 파악된 경우는 총 1,245건으로 이 중에서는 소비단계(472건) 제조단계(431건) 유통단계(342건) 순으로 나타났다.
○ 혼입 원인이 파악되지 않은 이물 발생 건의 경우 원인불명(3,138건)과 조사불가(1,109건) 등이며, 현재 139건의 조사가 진행중이다.
- 원인불명은 유리조각, 금속, 플라스틱, 벌레 등 이물의 특성상 제조?유통?소비단계 모두에서 혼입될 가능성이 있어 명확한 인과관계를 입증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기 때문이며, 조사불가는 이물분실훼손, 영업소 폐쇄, 소비자 조사 거부 등이 원인이다.

□ 식품이물의 종류로는 벌레(2,831건, 50.3%) 곰팡이(557건, 9.9%) 금속(553건, 9.8%) 플라스틱(312건, 5.5%) 유리(84건, 1.5%) 순으로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 벌레의 경우 소비유통단계 혼입율(533건, 19.4%)이 제조단계 혼입율(103건, 3.7%)보다 높게 나타났다.
※ 제조단계에 농산물 등 원재료에서 이행되거나 유통판매업체 또는 소비자가 식품을 보관하는 과정에 부주의로 혼입
○ 곰팡이는 유통단계(109건, )에서 많이 발생하고, 제조단계(74건, 13.6%)에서도 상당수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곰팡이는 포장지 밀봉 불량, 유통 중 용기포장 파손 또는 뚜껑 등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주로 발생
○ 금속이나 플라스틱은 제조단계 혼입율(각 6.6%, 9.4%)이 소비단계 혼입율(각 5.2%, 3.3%)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 금속, 플라스틱은 제조 과정의 거름망, 세척용 브러쉬, 소비자 조리기구 등에서 혼입

□ 식품종류별로는 면류(1,374건, 24.4%) 커피(579건, 10.3%) 과자류(570건, 10.1%) 음료류(427건, 7.6%) 빵떡류(347건, 6.2%) 순으로 이물이 많이 발생하였다.
○ 면류에서 보고(신고)된 이물은 1,374건으로 이 중 유통단계(126건)에서 이물이 혼입된 비율이 9.4%정도로 다른 식품 종류에 비하여 높았으며,
○ 커피는 579건이 보고(신고)되었으며, 이 가운데 소비단계(38건)가 6.7%로 비율이 높았고, 과자류는 제조단계, 음료류는 소비유통단계에서 혼입이 많이 되었다.

□ 식약청은 올해에도 이물 관리 수준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중소기업의 이물 관리 능력 향상을 위하여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업계 이물 관리 협력 네트워크 를 운영하여 업계가 자율적으로 이물관리를 할 수 있도록 지속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2011년도에 15개 대기업과 42개 중소기업이 이물 관리 협력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상호 현장 방문과 자문 채널 개설, 정보 공유, 교육 및 간담회 등 개최
○ 또한 이물 혼입 경로에 대한 보다 명확한 원인규명 및 판정을 위하여 이물 조사자에 대한 전문화 교육과 산학연 합동으로 이물조사판정위원회구성을 확대하여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 아울러 소비자도 식품 구매 시 포장 상태를 꼼꼼히 확인하고, 개봉한 식품은 가능한 한번에 섭취하되, 부득이 개봉한 식품을 보관할 때는 잘 밀봉하여 청결한 장소에 보관할 것을 당부하였다.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첨부파일이 다운로드 되지 않을 때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식품의약과
전화번호 :
 054-880-3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