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설총

설총

자(호)
총지/빙월당
인물유형
문인
시대배경
삼국시대

설총의 자는 총지(聰智), 호는 빙월당(氷月堂)이다. 할아버지는 담날나마요, 아버지는 원효이다. 그의 성질이 총명하고 예민하여 어려서부터 도술을 알았으며, 방언으로 구경을 읽어 후배들을 가르쳤는데 지금까지 학자들이 그를 존경하고 있다.

그는 또 글을 잘 지었으나 세상에 전해온 것이 없고 다만 지금 남쪽 지방에 설총이 지은 비문이 더러 남아 있다. 그러나 글자가 이지러져서 읽을 수 없으므로 도무지 어떠한 것인지 알 수 없다. 여름 5월에 신문왕이 높고 밝은 방에서 설총을 돌아보면서 말씀하시기를 "오늘 오랜 비가 처음으로 개이고 남풍이 약간 서늘하니 아무리 맛있는 음식과 듣기 좋은 음악이 있더라도 그것이 고상한 이야기나 재미있는 농담으로 유쾌하게 노는 것만 같지 못하다. 그대는 반드시 색다른 소문도 들었을 터인데 어찌 나를 위하여 이야기하지 않는가"하였다. 총이 말하기를 "옳습니다. 제가 들으니 예전에 화왕이 처음 올 때 그것을 향기로운 동산에 심고 푸른 장막으로 보호하였더니 봄철이 되어 곱게 피어나 온갖 꽃들 중에서 훨씬 뛰어났습니다. 이때에 가까운 데로부터 먼 곳에 이르기까지 곱고 아리따운 꽃의 정령들이 모두 누구보다 뒤떨어지지 않겠다고 제각기 달려와서 화왕께 배알하였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어떤 아름다운 여가가 붉은 얼굴, 옥 같은 이에 고운 입성을 말쑥하게 차리고 간들간들 걸어와서 공손하게 다가서며 말하기를 '나는 눈같이 흰 모래벌에 목욕하여 때를 씻고 맑은 바람을 쐬면서 제 신대로 노니는데 이름은 장미라고 하는 바 대왕의 어지신 덕망을 듣고 이 향기로운 휘장 속에서 대왕의 잠자리를 뫼시려 하오니 대왕께서 나의 뜻을 받아 주시겠습니까'하였습니다. 또 어떤 남자가 베옷에 가죽띠를 띠였으며 성성한 백발에 지팡이를 집고 비틀거리는 걸음으로 굽실굽실 걸어와서 말하기를 '나는 서울 문 밖 큰길가에서 사옵는데 아래로는 푸르고 넓은 광야의 경치를 내려다보고 위로는 높이 솟은 산세 의거하여 살고 있는 바 이름을 할미꽃이라고 합니다. 저의 생각에는 좌우의 공궤가 아무리 풍족하여 기름진 음식으로 배를 불리고 차와 술로 심신을 맑게 하며 농과 상자에 의복을 간직하여 두었더라도 좋은 약으로 원기를 도우며 독한 약으로 병독을 없애야 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옛 글에 실과 삼으로 만든 좋은 옷감이 있더라도 풀이나 띠 같은 천한 물건을 버리지 않아야만 모든 사람들이 아쉬운 것이 없다 하였으니 대왕께서도 혹 이런 생각을 두시는지요'라고 하였습니다. 누가 옆에서 말하기를 '두 명이 이렇게 왔는데 누구를 두고 누구를 보낼 것인가'하니 화왕이 말하기를 '영감의 말도 일리가 있다. 그러나 어여쁜 여자는 얻기가 어려운 것이니 이일을 어떻게 해야 할까'하였습니다. 영감이 다가서서 말하기를 '나는 대왕이 총명하여 의리를 알리려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왔던 것인데 지금 와서 보니 틀렸습니다. 대체 임금된 분 치고 간사한 자를 가까이 하지 않으며 정직한 자를 멀리하지 않는 이가 드물기 때문에 맹자는 불우하게 일생을 마쳤으며 풍당은 머리가 희도록 시시한 낭중 벼슬에 그치었습니다. 예로부터 이러하였으니 전들 어찌 하겠습니까'하니 화왕이 말하기를 '내가 잘못했노라, 내가 잘못했노라'하였습니다"라고 이야기를 하니, 왕은 이에 서글프게 내색을 지어 말하기를 "그대의 비유한 말은 의미가 진실로 심장하다. 이 말을 기록하여 두어 임금된 자의 경계로 삼겠다"하고 드디어 총을 발탁하여 높은 벼슬을 주었다.

세상에 전해지는 말에 일본국의 진인이 신라 사신 설판관에게 준 시 서문에 "원효대사가 지은 <금강삼매론>을 본 적이 있으나 저자를 직접 보지 못한 것을 매우 한스럽게 여겼더니, 듣건대 신라사신 설씨가 바로 설 거사의 손자라고 하니 비록 그의 할아버지는 보지 못하였으나 그의 손자를 만난 것이 기뻐서 이에 시를 지어 보낸다"하였다. 그의 시는 지금 남아 있으나 그 자손들의 이름은 알 수 없다.

고려 현종 1022년에 홍유후에 추증되어 문묘에 배향되었고, 조선 명조 16{년}(1561) 경주 서악서원에 제향되었다. 설총은 신라 삼문장의 한 사람으로 일찍이 국학에 들어가 학생들을 가르쳐 유학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가 한자에 토를 다는 방법은 당시 중국 학문의 수용에 커다란 도움이 되었다. 이두를 창제했다고 하나 그가 생존하기 전인 진평왕 때의 <서동요>, 선덕여왕 때의 <풍요> 등이 이두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그가 창제한 것이 아니라 집대성한 것으로 보인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행복콜센터 :
 1522-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