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근대 공보지

경상북도 근대 공보지 『경북』

경상북도 근대 공보지  『경북』
경상북도 공보지 경북

경상북도 근대 도정 자료 『경북(慶北)』은 1922년 9월에 창간되어 1925년 3월까지 간행된 월간지 형태의 공보잡지(公報誌)이다. 발행 주체는 당시 대구부(大邱府) 상정(上町)의 경상북도청 안에 있었던 경북연구회(慶北硏究會)이다. 경북연구회 회장은 도지사가 맡았고 부회장은 부지사가 맡았다. 잡지 발행인은 경상북도 문서과장(文書課長)이었다. 『경북』은 발행 주체와 발행인 정보만 보더라도 일반 민간 잡지가 아니라 공적 목적으로 간행한 공보잡지였음을 알 수 있다. 권당 분량은 창간호만 약 80페이지이고 제2호부터는 약 100페이지~150페이지에 이른다. 잡지 『경북』은 권당 분량과 내용 구성만 보더라도 당시 한반도 전체를 통틀어 유사 사례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매우 이례적이다. 이 이례성은 자료가 지니는 중요성을 의미한다. 경상북도 근대 도정 자료 『경북』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귀중 기록물이다. 첫째, 『경북』은 1945년 이전 한반도 전체의 12개 부(府)와 13개 도(道) 단위 지역, 달리 표현하면 현재의 광역지자체 단위에서 발간된 근대 행정 공보잡지 가운데 가장 빠른 사례에 해당한다. 경상북도가 근대 시기 전국 행정 공보잡지 가운데 가장 빠르면서도 의미 있는 사례를 만든 것이다. ‘경상북도’라는 행정 단위 명칭이 탄생한 것은 1897년 광무개혁 시점이었다. 이때 경상북도는 수부(首府)인 대구군(大邱郡)을 포함한 41개 군 전체를 관장하는 행정 단위였다. 이후 경상북도가 현재와 같이 대구와 행정적으로 분리된 것은 1914년 부제(府制) 실시 시점이다. 조선총독부는 전국 12개 거점 도시를 부(府)로 지정하면서 13개 도(道) 단위 행정과 분리시켜 가는데, 경상북도는 이 과정에서 대구와 독립된 행정 체계를 처음 갖추게 된다. 이와 같은 근대 행정 조직 역사에 비추어 보면 1922년 시점에 경상북도가 근대 도정 잡지 『경북』을 창간한 것은 매우 적극적인 움직임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적극성이 역사적으로 최초인 동시에 매우 중요한 도정 기록물을 낳은 것이다. 1945년 이전 전국의 부(府) 혹은 도(道) 단위 행정 자료 발간 상황을 확인해 보면 경상북도가 간행한 근대 도정 자료 『경북』이 얼마나 선구적이었는지 잘 알 수 있다. 예컨대 경성부(京城府)는 1921년에 『경성휘보(京城彙報)』를 창간했지만 분량과 체제가 월 1회 발간되는 신문 정도에 머물렀고 『경북』처럼 잡지 형태를 갖춘 것은 1925년 이후이다. 평양부(平壤府)의 『평양휘보(平壤彙報)』도 1922년 창간 시점에는 월간신문 형태였고 1931년이 되어서야 월간잡지 형태로 간행되었다. 부산부(釜山府)도 1926년 7월이 되어서야 잡지 『부산(釜山)』을 창간하고, 인천부(仁川府)는 1934년이 되어서야 월간 『인천휘보(仁川彙報)』를 발행했다. 坂本愁一 木村健二 『近代植民地都市 釜山』 (桜井書店, 2007), p.58. 둘째, 경상북도 근대 도정 자료 『경북』은 13개 도(道) 단위에서 월간 형태로 발간한 유일한 근대 도정 자료이다. 앞서 살펴본 근대 시기 주요 지역별 행정 공보잡지 사례는 모두 부(府) 단위 지역에 해당한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45년 이전에 도 단위에서 근대 도정 자료를 월간 형태로 발간한 지역은 경상북도가 유일했던 것이다. 어떻게 경상북도만 이와 같은 근대 도정 자료 발간이 가능했는지는 조사와 연구가 필요한 대목이지만, 지금까지 살펴본 바에 따르면 경상북도가 당시 한반도 전체에서 가장 많은 조세 납부액을 내는 지역이었다는 점과 ‘경북연구회(慶北硏究會)’라는 조직 체계 구성이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해제 집필자의 전문 영역을 벗어나 확정은 못하겠지만 도지사가 회장을 맡고 부지사가 부회장을 맡아 관내 관공리를 가입시킨 ‘연구회’를 조직해 다양한 정보와 문화를 공유한 사례는 당시 도 단위 행정 기관에서 흔치 않은 사례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게다가 역사와 문화에 대한 소양을 갖추고 프랑스문학도 읽을 수 있었던 저널리스트 출신 전문 편집인을 고용해 행정, 경제, 산업, 통계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 문화, 예술, 해외 정보까지 아우른 평균 100페이지 이상의 두툼한 월간지를 발간한 것은 21세기 대한민국에 적용해도 그 사례를 찾기 어려울 것이다. 셋째, 경상북도 근대 도정 자료 『경북』은 창간 시점도 매우 중요하다. 잡지 『경북』은 1919년 3・1운동을 계기로 변화된 식민지 지배정책이 1920년대에 접어들어 전국 도 단위 행정 영역에서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구체적이고도 다양하게 확인할 수 있는 귀중 자료이기 때문이다. 『경북』은 1922년 9월에 창간되었다고 소개했는데, 근대 도정 자료가 1920년대에 접어들어 간행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창간 시점은 역사적 이유와 맥락이 분명히 존재했다. 일본은 1910년 이후 본격적인 식민지 지배정책을 위해 조선총독부를 중심으로 중앙과 지방 단위 행정 조직을 새롭게 구축하기 시작했다. 그 첫 번째 중요 조치는 1914년의 부제(府制) 시행이었다. 이 시점에 행정 정책의 우선순위는 전국 12곳 부 단위 도시 지역의 행정 체계를 구축하는 것에 놓여 있었을 것이다. 시야를 넓혀 보면 1910년에 시작해 1917년 무렵에 마치는 토지조사사업 또한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최우선 정책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 이후 조선총독부는 1917년에 면제(面制)를 새롭게 시행하는데, 이 면제 시행은 부(府) 단위에 이은 도(道) 단위 행정 체계를 본격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중요 조치였다. 토지조사사업이 완료된 1917년부터 새로운 면제가 시행되었다는 사실은 도 단위 행정 정책이 토지조사사업으로 구축·재편한 토지 소유에 기초한 세금 징수에 초점을 맞춘 것이었음을 의미한다. 조선총독부가 1910년대에 진행한 위와 같은 정책은 ‘무단통치, 헌병경찰제도’와 같은 역사 용어가 상징하듯이 일방적이고 거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상황은 1919년에 3・1운동이 일어났다는 사실과 1920년대 접어들어 한반도에서 더 이상 생활을 유지할 수 없어서 일본 본토로 이주하는 조선인 숫자가 일본 본토에서 식민지 조선으로 이주하는 일본인 숫자를 단숨에 따라잡는 사실 등이 객관적으로 증언한다. 조선총독부도 1910년대 식민지 지배정책과는 다른 정책을 고민해야 했고 그 결과가 이른바 ‘문화통치’로 대표되는 정책 전환이었다. 물론 간과해서 안 될 것은 이 정책 전환이 1910년부터 본격화된 식민지 지배정책을 견지하는 동시에 오히려 부드럽게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는 점이다. 이처럼 경상북도의 근대 도정 잡지 『경북』은 1919년 3・1운동을 계기로 변화된 식민지 지배정책이 전국 도 단위 행정 영역에서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구체적이면서도 다양하게 확인할 수 있는 가장 빠르면서도 유일한 귀중 자료인 것이다.

경상북도 근대 공보지 경북 1
경상북도 근대 공보지 경북 1

경상북도 근대 공보지 경북 2
경상북도 근대 공보지 경북 2

경상북도 근대 공보지 『경북』 3권
경상북도 근대 공보지 『경북』 3권

경상북도 근대 공보지 『경북』 4권
경상북도 근대 공보지 『경북』 4권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행복콜센터 :
 1522-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