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성과(2020년)
전통양잠산업기반 유지
- 원누에씨 생산 406매 → 보급누에씨 생산업체에 공급
- 잠123 150매, 잠124 150매, 잠153 13매, 잠154 13매, 잠311 40매, 잠312 40매
- 보급누에씨 생산 400상자 → 도내 신청농가에 공급
- 봄누에씨용 320상자, 가을누에씨용 80상자
- 보급누에씨 공급 160상자(애누에 112상자, 개미누에 23상자, 누에씨 25상자)
- 애누에 : 2령까지 사육하여 농가공급
- 누에 사육용 양질의 뽕잎 확보를 위한 뽕밭관리
- 비배관리 4회, 제초 4회, 경운 2회, 병해충방제 2회 등
- 무독 우량 누에씨 생산을 위한 병독검사 실시
- 검사실적 4,953점(사업장 3,314점, 잠경산업사 1,639점)
- 전통명주 원료생사 공급 : 명주잠업영농법인, 악기제조사 등
- 누에고치 구매 6,828kg(봄 4,347kg, 가을 2,481kg)
- 생사생산 1,220kg, 생사판매 1,301kg(전년도생산량포함)
- 누에 동충하초 종균 공급 52상자(봄 28, 가을 24)
- 경북 27상자, 경남 20상자, 대구 1상자, 충남 2상자, 충북 1상자, 전남 1상자
농가 생산기술 강화와 소득증대를 위한 맞춤형 교육 실시
수정벌 활용 농가 교육(잠사곤충사업장, 19.12.12.)
기능성 양잠산업에 맞는 시험연구 및 유전자원 육성 관리
- 농촌진흥청과 연계한 신품종개발 지역적응 시험연구사업 추진
- 누에우량교배조합 지역적응시험 5품종(봄, 가을 2회)
- 누에동충하초생산능력 검정시험 5품종(봄, 가을 2회)
- 뽕나무 신육성품종 조기증식 3품종
- 고품질다수성오디품종 지역적응시험 3품종(1년차 3품종)
- 농진청 외 7개도 지역적응시험분 사질조사특성검정시험(연 2회)
- 누에와 뽕나무의 다양한 품종의 계통 유지로 유전자원 보존
- 누에 : 임박갈원 등 79개 품종 보존
- 뽕나무 : 청일뽕 등 100개 품종 보존
곤충산업 활성화 기반 조성
- 화분매개곤충 증식ㆍ연구ㆍ공급을 통한 친환경 농업 육성에 기여
- 지역곤충자원산업화지원센터 운영으로 화분매개곤충 시장 확대 및 곤충산업 활성화 도모
- 곤충산업 수익모델 개발을 위한 유용곤충 시험 사육(갈색거저리 등 3종)
- 뿔가위벌류 자연개체 수 감소를 극복하기 위한 인공증식 연구
- 시설재배 작물 수정용 서양뒤영벌 592상자 공급
- 나비사육키트 37개, 누에사육키트 91개 공급
- 곤충관련 지식재산권 보유(2건)
- 호랑나비사육키트(실용신안), 서양뒤영벌 산란장치(특허)
- 경북농민사관학교 유용곤충활용전문가양성과정 교육 운영
곤충테마생태원 및 나비생태원 운영
- 자연환경보전, 생물다양성 확보를 위한 유용ㆍ멸종위기곤충 보전ㆍ증식과 주변 관광자원과 연계한 생태학습 및 휴식공간 제공
- 운영기간 : 2020. 1~12월
- 규모 : 29,932㎡(곤충테마생태원 26,732㎡, 나비생태원 3,200㎡)
곤충생태전시관 및 누에체험학습관 운영
- 운영기간 : 2020. 1~12월
- 방문인원 : 7,143명(코로나19로 인해 3~5월, 9월 휴관)
- 체험ㆍ교육프로그램 운영
- 로봇댄스공연, 비대면 곤충교육자료 및 곤충퀴즈풀기 제작ㆍ활용
참조 코로나19로 일부 체험프로그램 운영 중단
- 로봇댄스공연, 비대면 곤충교육자료 및 곤충퀴즈풀기 제작ㆍ활용
- 특별기획전시 2회(국립 백두대간 수목원 사진전, 낙동강 토속어류 사진전)
- 홍보 및 고객참여 행사실시(관람객 참여 이벤트 5회)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 담당부서 :
- 잠사곤충사업장
- 전화번호 :
- 054-530-6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