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타임라인

24.06.18 주민대피협의체 업무협약 체결식

경상북도가 예측 불가하고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전국 최초의 민관 주민대피협의체를 구축한다.

경상북도는 18일 오후 도청에서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이강덕 경북시장군수협의회장, 김철문 경북경찰청장, 박근오 경북소방본부장, 엄태봉 경북이통장연합회장, 은종현 경북자율방재단연합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경상북도 주민대피협의체' 업무협약을 맺었다. 

 

주민대피협의체는 야간재난, 산간지형, 고령자 피해가 많은 경상북도 재난의 특징을 반영해 추진하는 경북형 재난대응 체계인 민관협력의 제도화된 모델이다.

이번 협약으로 주민대피협의체의 한 축인 민간(마을순찰대·이통장)은 위기 징후 감지, 상황전파, 재난취약자 및 미대피자 발생에 대비해 각 가정을 방문해 신속한 주민 대피를 돕고 필요한 경우 사전대피로 자신의 마을을 스스로 지키는 역할을 한다.

관(전담 공무원·경찰·소방)에서는 대피소별로 지정된 전담 공무원과 경찰, 소방공무원의 유기적인 협조 체계를 바탕으로 재난 발생 전부터 재난 상황 단계별 선제적인 주민대피지원, 현장 응급구조 및 안전관리를 지원해 도민 생명을 보호한다.

특히 주민들이 위기 상황에도 마을을 잘 안다는 이유로 대피에 안일하게 대응하는 경우 경찰 및 소방공무원이 재난 현장에 출동해 대피불응자에 대한 강제 대피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철우 경상북도 도지사는 "공무원 본연의 임무는 무엇보다도 소중한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데 있다"며 "불확실한 여름철 재난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사전점검과 예방뿐만 아니라 민관 협력의 제도화된 시스템 구축으로 인명 피해 ZERO 경북을 민관이 함께 만들자"고 말했다.

한편 경상북도는 올해 초 재난안전실과 자치행정국을 통합, 안전행정실을 출범하였으며, 1마을 1대피소 지정, 12시간 전 사전대피 예보제, 마을순찰대 가동, 주민 대피협의체 구성으로 민·관 협력의 제도화를 통해 경북형 주민대피시스템 4대 축을 완성했다.

또 여름철 자연재난으로부터 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K-마을순찰대와 '어둡기전 서둘러 안전하게 대피하이소~' 프로젝트를 중점적으로 추진해 주민대피시스템과 선진 도민 의식을 결합하여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나갈 계획이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행복콜센터 :
 1522-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