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150대+ 저출생 극복 시책

만남, 주선

저출생 정책을 추진과제, 내용, 부서, 전화번호 순으로 나타낸 표입니다.
추진과제 내용 부서 전화번호
결혼 축하 혼수 비용 지원 '25년에 결혼한 20대 신혼부부.
가구당 100만원 혼수 (가전ㆍ가구 등) 비용 지원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1
시군 만남 주선 사업 지원 미혼남녀(공공, 민간) 대상.
동아리 및 워크숍 활동, 솔로 마을 등 만남기회 제공 프로그램 운영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3

행복 출산

저출생 정책을 추진과제, 내용, 부서, 전화번호 순으로 나타낸 표입니다.
추진과제 내용 부서 전화번호
산부인과ㆍ소아과
One-hour 진료체계 구축(민간)
6개 상급종합병원 연계. 1시간이내 산부인과ㆍ소아과 협력진료 네트워크 구축 공공의료과 ☎ 054-880-3875
산부인과ㆍ소아과
One-hour 진료체계구축(자치단체)
22개 시군 산부인과 32개소, 소아과 51개소. 평일 연장진료, 주말ㆍ공휴일 순환진료 실시 공공의료과 ☎ 054-880-3862
(남성)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고환조직 정자추출 등 최대 3회, 100만원/회 지원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8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체외수정(출산당 최대 20회, 150만/회), 인공수정(출산당 최대 5회, 40만/회) 지원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8
한의약난임치료지원 난임 진단을 받은 난임부부(도내 6개월 이상 거주).
한약처방 및 침, 뜸 등 한방시술비 120만원/인 지원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9
영구적 불임예상 생식세포 동결보존 지원 영구적 불임이 예상되어 가임력 보존이 필요한 남녀(결혼여부 무관).
생식세포 냉동〮보존비 여(200만원), 남(30만원) 지원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9
냉동난자 사용 보조생식술지원 냉동난자사용 임신을 원하는 부부.
최대 100만원/회, 부부당 2회 지원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8
임신사전 건강관리지원 도내 20~49세 남녀.
필수 가임력 검진비 지원(최대 여성 13만, 남성 5만)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8
안동의료원 난임센터(아이ON센터) 운영지원 북부권 난임센터. 난임부부대상 난임시술 등 지원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9
난임ㆍ임산부 심리상담센터 운영지원 북부권(안동의료원)ㆍ서부권(김천의료원).
난임 및 산전 후 우울증을 겪는 부부의 심리 및 정서 지원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8
35세 이상 산모 의료비지원 도내 35세 이상 산모 대상.
외래진료비 및 검사비(임신당 최대 50만원) 지원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8
청소년 산모 의료비 지원 19세 이하 청소년 산모 대상.
임산부 및 2세 미만 영유아의 의료비 및 약제〮치료제 구입비 지원(임신1회당 120만원)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9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19대 고위험 임신질환 임산부 대상.
입원치료비의 급여 중 전액본인부담금 및 비급여진료비 90% 지원. 1인당 300만원 범위내 지원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9
새생명 탄생 119구급서비스 도내 임산부 및 출산후 6개월 미만 산모 대상(신청자에 한함).
119안심콜 등록 및 이송 서비스 등 지원
구조구급과 ☎ 054-880-6320
임산부 전용 콜택시 운영 지원 임산부(등록일~출산후 15일까지) 대상.
병원진료 등 이동 시 자부담(1,100~3,000원) 제외금액 지원
교통정책과 ☎ 054-880-2665
임신부 어촌마을 태교여행 지원 도내 거주 임신부 대상.
어촌 숙박시설 이용 숙박비, 앨범 등 지원(40만원/인 정도)
해양레저관광과 ☎ 054-880-7793
김천의료원 분만산부인과 운영 김천의료원 분만실(2) 신생아실(1) 운영 공공의료과 ☎ 054-880-3893
순회진료산부인과운영 산부인과가 없는 6개 군(청송, 영양, 고령, 성주, 봉화, 울릉) 대상 찾아가는 산부인과 운영 보건정책과 ☎ 054-880-3784
찾아가는산부인과운영 산부인과가 없는 6개 군(청송, 영양, 고령, 성주, 봉화, 울릉) 대상 찾아가는 산부인과 운영 보건정책과 ☎ 054-880-3784
찾아가는산부인과진료버스구입 산부인과가 없는 6개 군(청송, 영양, 고령, 성주, 봉화, 울릉) 대상 찾아가는 산부인과 운영을 위한 진료버스 구입 보건정책과 ☎ 054-880-3784
분만취약지산부인과운영 분만취약지 분만산부인과(예천권병원, 울진군의료원, 영주기독병원, 상주적십자병원, 영천제이병원, 김천제일병원, 안동병원) 지원 보건정책과 ☎ 054-880-3784
분만취약지외래산부인과운영 산부인과가 없는 6개 군(청송, 영양, 고령, 성주, 봉화, 울릉) 대상 찾아가는 산부인과 운영 보건정책과 ☎ 054-880-3784
거점형 공공산후조리원 설치지원 (거점형 등) 공공산후조리원 확대 (현 3개소 → 7개소)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8
공공산후조리원 확대 (거점형 등) 공공산후조리원 확대 (현 3개소 → 7개소)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8
공공산후조리원 운영지원 공공산후조리원 운영 (현 3개소 → 7개소)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8
경북형 신생아 집중치료센터 운영 지원 구미차병원 신생아집중치료 병상(8개) 운영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8
산모ㆍ신생아 건강관리지원 산모ㆍ신생아건강관리사 이용 비용 지원(자녀수,단ㆍ쌍태아 차등 지원)
→ (바우처) 5~40일, 642,000원 ~ 14,311,000원 지원
→ (본인부담금) 최대 15일, 서비스 구간별 90%(63,000원 ~ 3,838,500원) 지원
* 세쌍둥이 이상 최대 25일간 지원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8
생애초기건강관리지원 11개 시군, 임산부 및 2세 미만 영아 가정 대상.
건강상담, 양육교육 등 맞춤형 건강관리 방문서비스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9
출산축하박스지원 임신부 ~ 출생등록 후 2주 이내.
출산축하 선물박스(지역특산물, 육아용품 등) 제공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8
산모 건강회복 동해 특산 미역 지원 임산부(임신 ~ 분만후 6개월) 대상,
동해 특산 미역 제공
해양수산과 ☎ 054-880-7713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지원 24.1.1. 이후 임신부, 출산한 산모 대상.
48만원/인 상당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제공
스마트농업혁신과 ☎ 054-880-3372
초보 엄마아빠 북돋움 책선물 사업 임산부, '24.1.1. 이후 출생아 부모 대상.
육아책, 그림책 제공
경북도서관 ☎ 054-650-3917
예비 엄마아빠를 위한 행복가족여행 예비ㆍ임신 부부, 3자녀이상 가족 대상.
웰니스관광 중심 힐링여행비 지원(당일형 20만원, 1박2일형 30만원, 여행경비의 10%는 자부담)
관광마케팅과 ☎ 054-880-3203
열린 맘 임신 출산 서비스 지원 임신, 출산 2년이내 결혼이민자, 외국인 대상.
육아 등 맘코치 지원(가정방문, 병원동행 등)
외국인공동체과 ☎ 054-880-4655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의료비 지원 미숙아(최대 1천만원) 및 선천성 이상아(최대 5백만원) 대상.
입원비, 수술비 등 의료비 지원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9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 및 환아 관리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 본인부담금(7만원 이내) 및 확진환아 특수식이 및 의료비(25만원 이내) 지원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9
난청조기진단 난청검사(7만원 이내) 및 보청기 구입비(개당 135만원 한도) 지원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9
저소득층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저소득층 생후 2년 이내 영유아 가정 대상.
기저귀(월 9만원) 및 조제분유(월 11만원) 지원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9
출산 및 보육 관련 프로그램 지원 시군 맞춤형 출산 및 보육 관련 사업(프로그램) 운영비 지원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9

완전 돌봄

저출생 정책을 추진과제, 내용, 부서, 전화번호 순으로 나타낸 표입니다.
추진과제 내용 부서 전화번호
K보듬지원센터운영 k보듬 6000 운영 지원(인력운영, 품질관리, 서비스상담 등) 아이돌봄과 ☎ 054-880-4713
어린이 보듬밥상 마을돌봄터, 공동육아나눔터 이용 아동 대상.
방학중 중식비(1인당 9,000원 상당) 지원
아이돌봄과 ☎ 054-880-4712
어린이 식생활영양안전관리 지원 100인미만 어린이 급식소 대상
급식위생〮안전 방문 교육 등
보건정책과 ☎ 054-880-3844
영아 표준 보육 과정 신설 영아표준 교육과정을 교육계획에 추가 편성,
보육관련 기관 협력을 통한 보육전문가 양성 등
경북도립대학교 ☎ 054-650-0116
찾아가는 놀이 돌봄 오벽지 장난감 대여 및 노후 장난감 교체 지원,
찾아가는 놀이터 운영 지원
아이돌봄과 ☎ 054-880-4716
장난감도서관 설치 및 운영 장난감도서관 설치비, 운영비(17개 시군, 28개소) 지원 아이돌봄과 ☎ 054-880-4716
휴양림 키즈카페 조성사업 자연휴양림 내 체험 놀이시설 및 프로그램 운영 산림레저관광과 ☎ 054-880-3632
모두의 놀이터 조성 아동〮관광객 대상 창의놀이터 조성 관광정책과 ☎ 054-880-3188
영유아창의센터운영 영유아 가정 대상, 문화ㆍ놀이 프로그램 등 제공 아이돌봄과 ☎ 054-880-4716
조부모 손자녀 돌봄사업 조부모가 손자녀(0~10세)에게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일정액의 보수를 받는 노인일자리 사업 어르신복지과 ☎ 054-880-3744
아이돌봄지원사업 광역지원센터운영지원 아이돌봄사업 서비스 제공기관의 업무지원 및 서비스 모니터링 등 사후관리 지원 아이돌봄과 ☎ 054-880-4722
영아전담아이돌보미지원 36개월 이하 영아전담 아이돌보미 대상, 10만원/월 지원 아이돌봄과 ☎ 054-880-4722
아이돌봄 종사자 처우개선비(수당) 지원 월60시간 이상 근로한 아이돌보미 및 상근 종사자 대상, 10만원/월 지원 아이돌봄과 ☎ 054-880-4722
틈새 돌봄을 위한
「대학생 아이돌봄 서포터즈」 운영
대학에서 2학년 이상 재ㆍ휴학생 중 '아이돌봄 관련 유사 교과과정' 이수자 대상.
아이돌봄, 등하원 지원 등 서포터즈 활동 연계
아이돌봄과 ☎ 054-880-4722
아이돌봄 지원 부모의 맞벌이 등의 사유로 양육공백이 발생한 가정의 아동(3개월~12세 이하) 대상
찾아가는 아이돌봄서비스 제공
서비스 이용 기본단가 12,180원 ,
소득기준 및 가구 유형에 따라 정부지원금 차등 지원(본인부담 15~100%)
아이돌봄과 ☎ 054-880-4722
아이돌봄 부모부담금 경감 정부 아이돌봄서비스 이용가구 대상
아이돌봄서비스 본인부담금 지원(소득유형 및 가구 유형에 따라 차등, 본인부담금의 90~100% 지원)
이용료(12,180원/시간, 월 87~97만원, 월 80시간 기준)의 90~100% 지원
아이돌봄과 ☎ 054-880-4722
함께 키워요!
「K보듬 6000」 프로젝트
11개시군, 69개소. 0세~초등학생 대상.
24시까지 공동체 돌봄서비스(이동안전, 자원봉사, 재능기부, 친환경 급간식) 제공
아이돌봄과 ☎ 054-880-4713
함께 키워요!
「K보듬 6000」 이동〮안전 지원
11개시군, 69개소. 0세~초등학생 대상.
24시까지 공동체 돌봄서비스(자율방범대 활용 순찰, 통학버스 등 이동안전 지원)
자치경찰정책과 ☎ 054-880-7056
함께 키워요!
「K보듬 6000」 이동〮안전 지원
11개시군, 69개소. 0세~초등학생 대상.
24시까지 공동체 돌봄서비스(의용소방대 활용 이동안전 지원)
재난대응과 ☎ 054-880-6232
함께 키워요!
「K보듬 6000」 자원봉사 프로그램
11개시군, 69개소. 0세~초등학생 대상.
24시까지 공동체 돌봄서비스(자원봉사자 재능나눔 프로그램 운영)
새마을봉사과 ☎ 054-880-2905
함께 키워요!
「K보듬 6000」 친환경 과일간식 지원
11개시군, 69개소. 0세~초등학생 대상.
24시까지 공동체 돌봄서비스(친환경 과일 간식 제공)
농식품유통과 ☎ 054-880-3335
함께 키워요!
「K보듬 6000」 급ㆍ간식 업체 정보지원
11개시군, 69개소. 0세~초등학생 대상.
24시까지 공동체 돌봄서비스(급ㆍ간식 업체 정보 제공)
보건정책과 ☎ 054-880-3844
아픈아이 긴급 돌봄센터 운영 맞벌이 가정 4세 이상 유아 및 초등학생 대상.
긴급하게 병원진료가 필요한 경우 병원 동행 및 병상돌봄 서비스 제공 (무료, 병원비 자부담). 9개소→12개소 확대
아이돌봄과 ☎ 054-880-4715
24시 시간제 보육 지원 6개월~5세 영유아, 평일(24시), 주말ㆍ공휴일(18시)까지 돌봄공백 시 긴급보육(14개소 → 30개소 확대) 아이돌봄과 ☎ 054-880-4734
119아이행복 돌봄터 운영 3개월~12세이하 아동 대상.
긴급돌봄이 필요할 경우 119센터에서 무료돌봄 (1회당 12시간 이내)
예방안전과 ☎ 054-880-6740
종교시설을 활용한 돌봄공동체 지원 9개 시군, 23개소. 종교시설 연계 맞춤형 틈새 돌봄공동체 운영 문화예술과 ☎ 054-880-3131
늘봄학교 지원 미성년자가 있는 다자녀가구 대상. 가족 공연, 부모교육, 체험 프로그램 실시 교육청소년과 ☎ 054-880-4553
늘봄학교 안전 지원(소방본부) 초등(전 476개교) 늘봄학교 운영(안전지원, 응급핫라인, 자원봉사, 친환경급간식, 재능기부 등) 119종합상황실 ☎ 054-880-6410
늘봄학교 등하교 안전인력 지원(자치경찰) 초등(전 476개교) 늘봄학교 운영(안전지원, 응급핫라인, 자원봉사, 친환경급간식, 재능기부 등) 자치경찰정책과 ☎ 054-880-7055
늘봄학교 자원봉사자 지원 초등(전 476개교) 늘봄학교 운영(안전지원, 응급핫라인, 자원봉사, 친환경급간식, 재능기부 등) 새마을봉사과 ☎ 054-880-2905
늘봄학교 분야별 전문가 현황 제공 초등(전 476개교) 늘봄학교 운영(안전지원, 응급핫라인, 자원봉사, 친환경급간식, 재능기부 등) 교육청소년과 ☎ 054-880-4553
늘봄학교 급ㆍ간식 업체 정보 제공 초등(전 476개교) 늘봄학교 운영(안전지원, 응급핫라인, 자원봉사, 친환경급간식, 재능기부 등) 보건정책과 ☎ 054-880-3844
농촌형 보육서비스 지원사업 농촌지역 어린이집 대상.
찾아가는 돌봄교실, 농번기 아이돌봄방 운영
농업대전환과 ☎ 054-880-3322
농어촌지역 사랑의 공부방 운영 지원 농어촌지역 사랑의 공부방 지도교사 및 교육프로그램 지원 농업대전환과 ☎ 054-880-3322
농촌가정 출생육아 멘토링 농어촌지역 출생육아 전문교육 이수자와 출산ㆍ육아중인 농촌여성 간 멘토-멘티 결연 및 결혼ㆍ출산ㆍ육아 활동 전반 지원 농업테크노파크과 ☎ 053-320-0242
온종일 자녀안심 아이사랑 차량 운행 K보듬 6000 등 돌봄기관 및 어린이 이동취약지역 간 차량 이동 지원 교통정책과 ☎ 054-880-2661
돌봄 통합정보 제공 서비스 모이소앱 활용,결혼ㆍ임신ㆍ출산ㆍ육아ㆍ돌봄 관련 관심분야와 연령대별 맞춤형 정책 안내 AI데이터과 ☎ 054-880-2584
지역예술인과 함께하는 아이돌봄 예술교육 어린이집 20여 개소 대상, 지역예술인이 어린이집을 방문하여 문화예술 교육프로그램 운영 문화예술과 ☎ 054-880-3121
가족친화형 우수캠핑장 지원 민간 가족친화 우수캠핑장 지정(3개소, 2년간), 최대 2천만원/개소(30%↑ 자부담) 지원 관광정책과 ☎ 054-880-3194
K-공공보듬 1호 시범모델 운영(우쥬서원) 초등 저학년 이하 자녀 대상 아이동반 사무실 운영(교육프로그램, 놀이시설 운영 등) 인재복지과 ☎ 054-880-2855
돌봄ㆍ독서 융합「경상북도 돌봄도서관」운영 초등학생 대상.
주중 16~18시 독서ㆍ돌봄 융합 독서프로그램 운영
경북도서관 ☎ 054-650-3931
함께 키우는 작은도서관 돌봄사업 10개소. 초등 이하 아동 대상.
독서ㆍ놀이ㆍ문화 프로그램 융합 돌봄
경북도서관 ☎ 054-650-3923
다문화가족자녀학습및진로지원 초등이하 다문화가족자녀대상.
학습ㆍ진로 지원, 한국어 교육 등
외국인공동체과 ☎ 054-880-4655
다문화가족자녀이중언어대회 초중고 다문화가족자녀대상.
이중언어대회 개최
외국인공동체과 ☎ 054-880-4655
다문화인재세계화추진 결혼이민여성 20명 대상.
다문화가족 해외 봉사활동 추진
외국인공동체과 ☎ 054-880-4655
다문화가족자녀글로벌인재육성지원 다문화가족 자녀 50명 대상.
국내ㆍ국외ㆍ가족 캠프, 이중 언어 온라인수업 실시
외국인공동체과 ☎ 054-880-4655
외국인 영유아 자녀 보육료 지원 어린이집 이용 3~5세 외국인 아동 대상, 보육료(28만/월) 전액 지원 외국인공동체과 ☎ 054-880-4652
청소년부모 양육 등 통합 패키지 지원 자녀가 있는 24세 이하 부모에게 25만원/월 지원 여성가족과 ☎ 054-880-4693
입양아동 및 위기임신부 보호지원 체계 구축 입양아동 가족 지원 : 양육수당(20만/월), 입양축하금(1회, 200만), 심리치료비 (20만/월) 등 지원
위기임산부 지역상담기관(☎ 1308) 운영
교육청소년과 ☎ 054-880-4544
여성가족과 ☎ 054-880-4692
마을돌봄터(다함께돌봄센터) 설치ㆍ운영 초등학생 대상.
21개 시군, 74개소 운영. 급간식 제공, 상담 등 공동체 마을 돌봄
아이돌봄과 ☎ 054-880-4712
공동육아나눔터운영 18세 미만 아동〮부모 대상.
17개 시군, 38개소 운영. 이웃 간 품앗이 돌봄 공동체 형성
아이돌봄과 ☎ 054-880-4713
지역아동센터 특성화사업 지원 지역아동센터〮마을돌봄터ㆍ초등학교 돌봄 아동 대상.
상호협력 특화프로그램 운영
교육청소년과 ☎ 054-880-4543
도시군 육아종합지원센터 운영 6개소. 어린이집 설치ㆍ운영 상담, 육아전문가 상담, 언어놀이치료, 부모교육 등 운영 아이돌봄과 ☎ 054-880-4732
공공형어린이집지원 150개소. 공공형 어린이집 지정ㆍ재지정 및 운영비 지원으로 공교육 기반 조성 아이돌봄과 ☎ 054-880-4735
제21회 대한민국 청소년 박람회 개최 안동, 전국 청소년 대상.
국내 최대 규모의 청소년 축제(5월 예정). 청소년 체험부스‧페스티벌 등
교육청소년과 ☎ 054-880-4557
청소년 지원 정책      
도 청소년 활동진흥센터 지원 청소년 동아리 지원, 수련활동 인증제 및 청소년 성취 포상제 운영,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교육청소년과 ☎ 054-880-4558
시군 청소년 수련시설 확충 시군 청소년 수련시설(4개소) 건립 및 개보수 지원 교육청소년과 ☎ 054-880-4558
청소년 정책참여 및 권익증진 도 청소년 참여위원회 운영, 청소년 참여기구 워크숍 및 정책제안대회 개최 교육청소년과 ☎ 054-880-4558
청소년 제안정책 실현사업 청소년 제안정책 실현 캠프(경제금융, 환경교류) 운영 교육청소년과 ☎ 054-880-4558
도 청소년수련원 기능보강 경상북도청소년수련원 기능보강 실시 교육청소년과 ☎ 054-880-4557
융합 돌봄 특구 조성 돌봄 융합시설과 특화서비스를 집적화한 특구 조성(신도시형, 구도심형 등)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43
산단 특화 돌봄ㆍ교육 통합센터 건립 산업단지 등 기업밀집 지역에 근로 친화형 돌봄ㆍ교육 통합체계 건립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44
공항신도시 아이사랑 리빙파크 조성 공항신도시 일대. 공공임대주택단지에 아이돌봄 플랫폼 구축(~2030년) 공항추진과 ☎ 054-880-8842

안심 주거

저출생 정책을 추진과제, 내용, 부서, 전화번호 순으로 나타낸 표입니다.
추진과제 내용 부서 전화번호
도시개발사업구역과 연계한 양육ㆍ친화공간 조성 대규모 주거단지 조성 시 돌봄시설 설치를 적극 유도.
인허가기간 단축 및 건폐율ㆍ용적률 상향 등 인센티브 제공
도시계획과 ☎ 054-880-3923
어린이집 안전공제회비 지원 어린이집 이용 아동 36,500여명 대상.
안전공제회 영유아 배상 및 상해 공제료 등 지원
아이돌봄과 ☎ 054-880-4733
안심하고 학교 가는 길 조성 학교주변 및 통학로 안전시설 설치, 속도저감시설 설치 등 환경 조성 도로철도과 ☎ 054-880-3988
청년 신혼부부 월세 지원 19~39세 임차보증금 5천만원 이하&월세 80만원 이하에 거주하는
연소득(부부합산) 6천만이하 무주택 신혼부부. 2년간 최대 30만/월 임차료 차등 지원
건축디자인과 ☎ 054-880-4012
청년 월세 한시 특별 지원 19~34세 청년 대상.
소득 수준에 따라 월 최대 20만원(최대 12개월) 임대료 지원
청년정책과 ☎ 054-880-2763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지원사업 3개월내 결혼예정부부, 결혼 7년이내 부부. 연소득 1억이하 가구.
전세 임차보증금 이자 지원. 소득수준 및 출산 자녀수에 따라 차등 지원(0.3~5.5%)
건축디자인과 ☎ 054-880-4012
청년부부 주거환경 개선 19~39세 중위소득 100%이하 청년부부 중 시장ㆍ군수 추천 가구. 노후주택 리모델링비 지원 청년정책과 ☎ 054-880-2760
다자녀 가정 큰 집 마련 지원 신생아특례대출을 이용 중인 3자녀 이상 가구 대상.
주택가액 9억원 이하 전용면적 85㎡ 이하 주택을 마련할 경우,
대출한도 3억원에 대해 소득수준 및 자녀수별 1.5~3% 이자 지원(2~6년)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5
양육친화형 공공임대주택 공급 추진 분양전환 공공임대주택(통합돌봄 클러스터 포함) 756세대 공급(~2027년) 건축디자인과 ☎ 054-880-4020
지역밀착형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 돌봄시설을 갖춘 신축약정형 매입임대주택 공급.
('24년) 5개시군 200세대→('26년) 22개시군 700세대
건축디자인과 ☎ 054-880-4020
문화를 통한 민관협력형 저출생 극복 프로젝트 도내 문화소외 계층 아동 등 대상.
문화공간 및 육아지원 거점 조성
문화산업과 ☎ 054-880-3143
K-U시티 청년정주 공동주택 보급 초등 저학년 이하 자녀 대상 아이동반 사무실 운영(교육프로그램, 놀이시설 운영 등) 지방시대정책과 ☎ 054-880-3672
청년 유입을 위한 빈집 활용 어촌재생 프로젝트 40세미만 어촌 정착 희망자.
어촌지역 빈집활용 주거ㆍ창업을 위한 빈집 구입(1억/인)ㆍ임대(5천/인) 비용지원(지원금 변경 가능)
해양레저관광과 ☎ 054-880-7792
마린보이 청년어부 어촌정착 패키지 지원 40세 미만 어촌정착 희망자.
어선ㆍ주택 임차료, 어구구입비, 창업교육 등 최대 8,000만원/인 지원
해양수산과 ☎ 054-880-7713
청년 유입을 위한 지역활력타운 조성 청년 유입을 위한 지역활력타운(주거+생활인프라+생활서비스) 조성 지역개발과 ☎ 054-880-3943
도시재생을 통한 공공임대주택 확대 도시재생사업 추진 시 돌봄 친화 공공임대주택 확대.
신혼부부ㆍ출산 가구에 아파트 우선 공급
(신혼부부 및 다자녀 가구에 임대료 할인, 임대기간 연장, 분양 우선권 제공 등)
지역개발과 ☎ 054-880-3936
개발제한구역 활용 주거안정성 확보 개발제한구역 활용 청년〮신혼부부 대상, 행복주택 공급 및 주거 중심 컴팩트 시티 조성 도시계획과 ☎ 054-880-3921
청년을 위한 하천부지활용 택지공급 (~'29년) 청년층 대상, 하천부지활용 최저가 택지 공급 수자원관리과 ☎ 054-880-4068

일, 생활 균형

저출생 정책을 추진과제, 내용, 부서, 전화번호 순으로 나타낸 표입니다.
추진과제 내용 부서 전화번호
일생활 균형 지원센터 운영 일생활균형 기업 지원, 워라밸 문화조성, 가족친화인증 네트워크 조성 등 여성가족과 ☎ 054-880-4672
육아휴직 대체인력 근로자 인센티브 지원 중소기업 육아휴직 대체인력 대상.
3개월 근무 후 100만원,
6개월 근무 후 200만원 인센티브 지급
경제정책노동과 ☎ 054-880-2742
여성농업인 복지시설 운영 지원 여성농업인센터(1개소), 농촌보육정보센터(6개소) 운영.
보육시설, 방과후 아동 학습지도 등 운영
농업대전환과 ☎ 054-880-3322
다자녀 축산농가 헬퍼(도우미)지원 다자녀 한우 사육 농가에 12만원/명, 12회까지 도우미 비용 지원 축산정책과 ☎ 054-880-3416
경북형 부부공동육아 선도 프로젝트 육아기 단축근무제, 8세이하 자녀 보육휴가(5일) 실시,
아빠출산휴가 한달, 유연근무 사용
행정지원과 ☎ 054-880-2815
경북 여성일자리 취ㆍ창업 매칭데이 취ㆍ창업을 희망하는 여성과 채용 희망 기업을 연결하는 취ㆍ창업 매칭데이 운영 여성가족과 ☎ 054-880-4673
결혼이민여성 일자리창출사업 결혼이민여성에게 이중언어강사 등 맞춤형 일자리 제공 및
도민 대상 외국어 교육 기회 제공
외국인공동체과 ☎ 054-880-4655
돌봄연계 경상북도 일자리 편의점 구축 3개 시군. 경력단절ㆍ취업희망 여성 대상.
돌봄 연계 공공ㆍ민간 단기 일자리 제공
여성가족과 ☎ 054-880-4673
육아기 부모 단축 근로시간 급여 보전 지원 초6이하 또는 12세이하 자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 근로자 대상.
통상임금(400만원 이하) 급여보전지원
경제정책노동과 ☎ 054-880-2742
소상공인 출산장려 「아이보듬」지원 '25년 자녀출생 소상공인(출생후 12개월 이내)의 사업장 보조인력 인건비 지원,
6개월간 2백만원/월 지원
민생경제과 ☎ 054-880-2612
초등맘 10시 출근제 도입 중소기업 장려금 지원 근로시간단축제도(초1~6학년 자녀가 있는 근로자가 1시간/일 사용)를
실시하는 중소 기업, 대상.
근로자 1인당 최대 1백만원 지원
여성가족과 ☎ 054-880-4673
「육아기 근로 시간 단축제도 시행」 중소기업 우대 중소기업 육성자금 우대, 공모사업 등 선정 시 가산점 부여 기업지원과 ☎ 054-880-2672
출산농가 영농도우미 지원 (준)농어촌지역 거주 출산(예정) 여성(배우자 출산 남성) 농업인 대상 농업대전환과 ☎ 054-880-3322
제조업 AI융합 기반 조성사업 제조업 현안해결 AI 기술개발 및 실증을 통한 업무생산성 향상으로 일생활균형 현실화 AI데이터과 ☎ 054-880-2554

양성평등

저출생 정책을 추진과제, 내용, 부서, 전화번호 순으로 나타낸 표입니다.
추진과제 내용 부서 전화번호
경북형 여성친화도시 조성사업 8개 시군. 예비여성친화도시 발굴 및 지원. 시군별 여성친화 특성화 사업 추진 여성가족과 ☎ 054-880-4683
아동친화도시 조성 지원사업 6개 시군. 과학ㆍ팝업 놀이터, 전통놀이 프로그램, 복합놀이쉼터, 공공실내놀이터,
찾아가는 놀이버스 등
교육청소년과 ☎ 054-880-4542
양성평등정책지원사업 경북 한바퀴 찾아가는 양성평등 교육 실시, 풀뿌리 단체 양성평등 활동 지원 여성가족과 ☎ 054-880-4682
여성리더양성 및 네트워크 사업 여성리더양성 교육 실시, 여성리더양성 및 네트워크 사업 위원회 구성,
여성로컬 ESG 리더 포럼 개최
여성가족과 ☎ 054-880-4673
우리동네 아빠 교실 운영 0~9세 아동의 아빠 대상.
시군 가족센터를 통한 아빠교육 프로그램 운영
여성가족과 ☎ 054-880-4693
지자체선도 저출산대응 인식개선사업 100인의 아빠단 운영. 공동육아 및 가족친화 분위기 조성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2
도청 내 아빠 육아 교실
'아빠랑 놀자'운영
도청 내 3~7세 유아의 아빠 대상.
'아빠랑 놀자' 육아 교실, 소모임(멘토링) 운영
인재복지과 ☎ 054-880-2854
아빠와 함께하는 아이행복 캠페인 아빠 돌봄 문화 패러다임 전환 및 인식개선 캠페인 실시 아이돌봄과 ☎ 054-880-4712
영유아 대축제 2세이상 미취학아동 대상.
체험존 운영, 특별공연 등 운영. 부모-아이 유대 강화
아이돌봄과 ☎ 054-880-4732
인구의날기념행사 저출생 극복 및 인구감소 대응을 위한 공감대 확산〮인식개선 기념식 개최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6
아이사랑가족대축제 초등이하 자녀ㆍ부모, 임산부 등 대상.
아이〮출산〮양육 친화분위기 조성 문화행사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6
가족이 행복한 축제한마당 도지정 최우수 축제 연계 저출생극복시책 홍보, 가족체험 이벤트 실시 관광마케팅과 ☎ 054-880-3212
성별영향평가 및 성인지예산 컨설팅 지원 성별영향평가 및 성인지예산 전문가 컨설팅 지원, 컨설턴트 영향강화 교육 등 여성가족과 ☎ 054-880-4682
세자녀이상 가족 진료비지원 세자녀 이상 가구 중 막내가 13세 미만인 가족 대상.
가구당 진료비 본인부담금 5만원/년 지원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6
다자녀 가정 농수산물 구입 지원 다자녀(2자녀 중 1명이상 19세미만) 가구 대상.
사이소 쇼핑몰 쿠폰(2자녀 - 5만원, 3자녀 - 7만원, 4자녀이상 - 10만원) 제공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5
다자녀 가구 이사비 지원 '23.1월 이후 출생한 자녀가 있는 2자녀 이상 가구의
'25.1월 이후 이사비 40만원/회 이내 지원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6
문화로 행복한 K-다둥이 프로젝트 다자녀(2자녀 중 1명이상 19세미만) 가정.
문화ㆍ체육ㆍ관광 시설 이용 우대 및 다자녀 행복2.1존 운영
문화예술과 ☎ 054-880-3112
다자녀 가정 권리장전 제정 다자녀 가정 생활안정과 복지증진을 보장하는 권리장전 제정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5
다자녀 공무원 인사우대 방안 승진ㆍ평정ㆍ인사 우대, 제도개선 등 다자녀 공무원 인사우대 제도 실시 인재복지과 ☎ 054-880-4846
다둥이가족대잔치 미성년자가 있는 다자녀가구 대상.
가족 공연, 부모교육, 체험 프로그램 실시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6
전통시장 어린이 체험시설 설치 전통시장 내 체험형 야외 놀이시설 설치 민생경제과 ☎ 054-880-2637
찾아가는 유아숲 프로그램 지원 어린이집 등 영유아 대상. 체험ㆍ참여형 숲교육 프로그램 제공 산림레저관광과 ☎ 054-880-3631
에코랜드 어린이 숲체험전 숲놀이체험, 숲 공연ㆍ전시 등 체험전 개최 산림레저관광과 ☎ 054-880-3631
저출생 극복 지원 정책      
저출생극복 세미나 및 포럼 개최 등 선진국 등 저출생 극복 사례분석 및 정책 방향 모색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1
저출생극복 우수시군 포상 시군별 여건ㆍ특색에 맞는 우수시책 발굴 및 추진 독려. 우수 시군 포상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1
저출생극복 범도민 공감대 확산 찾아가는 인구교육, 슈퍼맨 아빠교실 운영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3
출산장려 콘텐츠 공모전 결혼ㆍ임신ㆍ출산ㆍ보육 관련 콘텐츠 전국 공모전 개최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2
저출생극복 연구용역 지역 맞춤형 저출생 극복 전략발굴을 위한 도-시군 협력기반 연구용역 추진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46
저출생극복 박람회 개최 등 체험공간, 이색 기네스상 시상, 토크 콘서트, 박람회 행사 개최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46
저출생대응 정책 홍보 캠페인 기획보도, 스팟광고 등 저출생 대응 정책 전반 홍보 캠페인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46
저출생정책 평가센터 운영 전문가 정책 평가단 운영, 데이터 기반 대응 위한 저출생 데이터 산출ㆍ분석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45
저출생극복 워킹그룹 운영 등 전문가 분야별 분과 구성, 워크숍, 도민모니터링단 운영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46
신규공무원 『저출생 극복 대응 프로그램』 추진 MZ세대 신규공무원 메타비전 캠프운영, 저출생 대책 및 인식향상 교육 추진 인재개발원 교육운영과 ☎ 053-606-2832
자녀돌봄&육아교실_ 실시간 온라인교육 초등이하 자녀가 있는 직원 대상.실시간 온라인(재택) 교육 과정 개설 인재개발원 교육운영과 ☎ 053-606-2822
아동친화음식점, 「웰컴키즈존」운영 19개 시군, 250개소. 어린이 전용 식기 및 유아용 의자 비치, 아이전용 메뉴 판매 등 저출생대응정책과 ☎ 054-880-4662
유입부터 정주까지 책임, 아시아 이주 허브 광역비자 제도 마련, K-드림 워크넷 시스템 구축, K-드림 헬퍼단 운영, 외국인 임신ㆍ출산ㆍ보육 지원 외국인공동체과 ☎ 054-880-4533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행복콜센터 :
 1522-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