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선형

총 게시물 52건, 페이지 5 / 6

    유선형
    유선형이란?
    몸의 횡단면이 난형인 가장 일반적인 유형으로, 고속 유영능력을 이용하여 이동하거나 먹이를 잡는다. 물고기 중 가장 균형이 잡힌 활동적인 생김새로 운동력이 풍부한 해양성 어류 중에서 많이 볼 수 있다.
  • 누치 (학명 : Hemibarbus labeo )

    누치 (학명 : Hemibarbus labeo )

    ◎ 누치- 학명 : Hemibarbus labeo- 영명 : steed barbel- 목 : 잉어목- 과 : 잉어과- 아과 : 모래무지아과- 형태 : 유선형◎ 형태 설명머리가 뾰족하고 등지느러미에

    18-12-31

  • 꾸구리 (학명 : Gobiobotia macrocephala)

    꾸구리 (학명 : Gobiobotia macrocephala)

    ◎꾸구리- 학명 : Gobiobotia macrocephala- 목 : 잉어목- 과 : 잉어과- 아과 : 모래무지아과- 형태 : 유선형- 특이사항 : 멸종된어종/멸종위기어종 . ◎ 형태 설명머리의

    18-12-31

  • 긴몰개 (학명 : Squalidus gracilis majimae)

    긴몰개 (학명 : Squalidus gracilis majimae)

    ◎ 긴몰개- 학명 : Squalidus gracilis majimae- 영명 : Korean slender gudgeon- 목 : 잉어목- 과 : 잉어과- 아과 : 모래무지아과- 형태 : 유선형-

    18-12-31

  • 금강모치 (학명 : Rhynchocypris kumgangensis)

    금강모치 (학명 : Rhynchocypris kumgangensis)

    ◎ 금강모치- 학명 : Rhynchocypris kumgangensis- 영명 : Kumkang fat minnow- 목 : 잉어목- 과 : 잉어과- 아과 : 황어아과- 형태 : 유선형- 특이사항

    18-12-31

  • 감돌고기 (학명 : Pseudopungtungia nigra)

    감돌고기 (학명 : Pseudopungtungia nigra)

    ◎ 감돌고기- 학명 : Pseudopungtungia nigra- 영명 : black shinner- 목 : 잉어목- 과 : 잉어과- 아과 : 모래무지아과- 형태 : 유선형- 특이사항 : 멸종된어종

    18-12-31

  • 가물치 (학명 : Channa argus )

    가물치 (학명 : Channa argus )

    ◎ 가물치- 학명 : Channa argus- 영명 : snakehead- 목 : 농어목- 과 : 가물치과- 형태 : 유선형◎ 형태 설명몸통은 원통형이나 두부는 종편되었고, 세력권을 지킬 때와 산란

    18-12-31

  • 가는돌고기 (학명 : Pseudopungtungia tenuicorpa )

    가는돌고기 (학명 : Pseudopungtungia tenuicorpa )

    ◎가는돌고기- 학명 : Pseudopungtungia tenuicorpa- 영명 : slender shinner- 목 : 잉어목- 과 : 잉어과- 아과 : 모래무지아과- 형태 : 유선형- 특이사항

    18-12-31

검색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민물고기연구센터
전화번호 :
 054-783-94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