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 SNS 바로가기

  • 페이스북
  • 블로그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리스트로보기

이전 다음

불영사 영산회상도

  • 지정 : 보물
  • 한자명 : 佛影寺 靈山會上圖
  • 유형분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 시대 : 조선
  • 지정일 : 1997-08-08
  • 소재지 : 울진군 서면 하원리 122
경북도 - 이 靈山幀은 雍正 11年(1733) 作으로 18世紀以後 매우 盛行하여 남아 있는 作品가운데 比較的 이른 時期의 18世紀初 것이며 狀態도 매우 良好하다. 이 時期의 靈山幀들의 構圖와 構成이 大同小異한데, 이 佛影寺의 靈山幀은 菩薩들의 配列 가운데 觀音菩薩과 大勢至菩薩을 强調하여 그린 것이 特異하다. 本尊은 降魔觸地釋迦如來坐像인데 左右脇侍로 觀音ㆍ勢至 菩薩을 둔 것은 降魔觸地印如來坐像의 圖像硏究에 새로운 問題點을 던져 주고 있다. 이 脇侍菩薩들로 本尊을 阿彌陀如來라고 斷定하기 어렵고 오히려 釋迦如來가 時期에 따라 여러 다른 菩薩들을 脇侍로 거느릴 수 있다는 會通的 性格을 띠고 있다고 하겠다. 18世紀初의 이른 時期의 製作, 格調있는 樣式, 特異한 圖像, 比較的 良好한 狀態 등으로 미루어 寶物로 指定하게에 不足함이 없다고 생각한다. 그림 아랫部分의 畵記에 이 佛畵를 造成하였던 關係者와 年代를 밝히고 있는데, 그에 의하면 “雍正拾一年乙卯閏四月初七日 靈山幀畢功安于蔚珍西天竺山 佛影寺”라 하고 있어 이 그림의 造成年代는 1733年 作임을 알 수 있다. 울진군 - 영산회상도는 대웅전 같은 불당의 불상 뒤에 거는 後佛幀畵로서 영조 9년(1733)에 宏遠, 明俊, 淳日比丘 등 6분의 스님이 그린 탱화이다. 영산회상도란 석가모니부처가 靈鷲山에서 說法하는 모습을 표현한 그림으로 중앙에 설법인(혹은 항마촉지인)을 한 좌상의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좌우에는 5위씩의 10대보살 등 여러 권속들이 협시로 묘사하였다. 협시보살 윗쪽 좌우에는 제석천과 범천상·아랫쪽 좌우에는 사천왕상, 본존의 윗쪽 좌우에는 십대제자상과 신중상들을 배열하였다. 하단에 시주질과 연화질 등이 배치되어 있다. 구도에 있어서 영산회상도는 일반적으로 팔대보살이 표현되나, 이 불화에서는 십대보살이 묘사되고 협시보살인 文殊(혹은 觀音ㆍ普賢(혹은 大勢至菩薩)을 아래쪽에 크게 묘사하여 강조하고 있음이 특징적이다. 좌상의 석가모니불 法衣가 紅袈裟를 취했고 광배도 붉은 테를 두른 이중광배를 나타내고 있는 것 등은 영ㆍ정조 때에 많이 제작된 조선후기 불화의 양식에 선행하는 것으로, 하동 쌍계사 팔상전에 소장된 숙종때의 영산회상도, 대구 파계사 원통전의 영산회상도와도 양식적 특징에서 맥을 같이 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조선 영조 9년(1733)에 그려진 이 그림은 채색의 사용법이 유려하고 묘사법이 정밀하여 영산회상도로서의 품격을 더욱 돋보이게 하고 있으며, 하단에 시주질과 연화질이 배치되어 있다. 그림의 아랫부분 緣化秩에는 제작연대, 제작자, 제작에 참여하였던 인물을 소상하게 밝히고 있어 제작시기와 배경을 확실히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격조있는 양식, 특이한 도상, 비교적 양호한 보존상태 등에서 18세기 초 조선불화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18세기 이후에 유행하는 영산탱화 가운데 이른 시기의 것으로 상태가 양호하다. 이 시기의 영산탱은 구도가 비슷한데, 이 그림은 보살들의 배열 가운데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강조한 것이 특이하다. 본존은 降魔觸地印을 한 좌상이고 양 협시보살로 관음과 대세지보살을 둔 것은 항마촉지인 여래좌상연구에 새로운 문제점을 던져주고 있다. 畵師 : (證明)印悟比丘 (畵員)宏遠ㆍ明俊ㆍ淳日比丘 등 6人, 畵記 : 擁正拾一年乙卯 閏四月初七日 靈山幀畢功安于蔚珍西天竺山佛影寺

학술자료

  • 1. 文化財大觀(200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경상북도 / 발행처 : 경상북도
  • 2. 국보·보물 문화유산을 찾아서 , 경상북도(경주·대구 제외)(2013년 발행)
    단행본 / 저자 : 김광호 / 발행처 : 혜성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담당부서 :
 문화유산과
전화번호 :
 054-880-3177